울산시의 다양한 정책 추진과 대기질 개선 노력 등으로 울산지역의 대기환경이 크게 개선됐으나, 광화학오염물질인 오존(O3)은 지속적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오존 및 유해대기오염물질 관리 위한 ‘비산배출 입체 관리체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울산연구원 시민행복연구실 마영일 박사는 11일 발간된 울산도시환경브리프 111호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울산시는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 대표적으로 시는 선진국 수준의 대기질 개선을 위한 ‘대기질 개선 중장기 종합대책’을 수립해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 시행했다.

또 ‘울산광역시 대기환경 개선 실천계획’의 수립과 이를 기반으로 한 ‘울산형 미세먼지 저감대책(2018~2022)’도 추진했다. 이와 함께 법정계획인 ‘울산광역시 대기환경관리 시행계획(2020~2024)’을 통해 오염물질 총량관리제, 노후 경유차 조기폐차 및 운행 제한, 친환경차 보급, 생활오염원 관리 등 다양한 배출저감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 같은 대책 추진으로 지난 20년간 울산의 대기환경은 전반적으로 상당히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기준 SO2(이산화황), NO2(이산화질소), PM10(미세먼지)의 연평균 농도는 2001년에 비해 각각 33%, 82%, 55% 수준으로 개선됐다. PM2.5(초미세먼지)는 측정 개시 후 17㎍/㎥ 까지 개선되었지만, 대기환경기준(15㎍/㎥)은 초과했다.

2020년의 전년(2019년) 대비 큰 농도 감소는 정책 이행 효과와 함께 코로나로 인한 사회·경제활동 감소 영향이 합쳐진 이유로 분석됐다.

하지만 대표적인 광화학오염물질인 오존(O3)은 정책 시행에도 지속적으로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오존 농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0년의 연평균 농도가 2001년 대비 1.6배 수준에 이른 것으로 조사됐다. 

고농도 오존으로부터 건강 보호를 위한 주의보 발령일과 횟수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마 박사는 “오존은 대기 중 질소산화물(NOx)과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이 강한 태양빛에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생성되는 물질로 전구물질(어떤 물질에 선행하는 물질) 배출량과 기상조건에 큰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오존 및 및 유해대기오염물질 개선을 위한 VOCs(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관리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VOCs는 대기 중으로 쉽게 증발되는 액체 또는 기체상 유기화합물들의 총칭으로, VOCs를 구성하는 물질들의 상당수는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유해대기오염물질로 분류되고 있다. 

마 박사는 “타 지역과 다르게 울산은 주요 배출원 중 생산공정이 차지하는 배출 비중이 높아 이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며 “효율적인 배출 관리를 위해 VOCs 비산배출을 탐지할 수 있는 원격측정장비와 이동측정차량을 활용한 입체 관측 및 관리체계의 구축과 운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