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서 발생한 이산화탄소
압축해 동해가스전에 보관
주입기술 개발·인프라 구축
2024년부터 7년간 추진계획
兆단위의 예산 투입될 전망
과기부 예타통과 여부 관건

동해가스전 / 경상일보 자료사진
동해가스전 / 경상일보 자료사진

울산시가 온실가스 감축의 새로운 지평을 열 동해가스전 활용 CCS 실증 사업 공모에 선정됐다. 조 단위에 달하는 막대한 예산이 투입될 것으로 추산되는 만큼 올 2분기 목표인 예비 타당성 조사 대상 선정 신청을 앞두고 시와 중앙 부처는 막바지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19일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등에 따르면, 산업부와 해양수산부는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CCS 중규모 실증 인프라 구축 사업 예타 조사 지원’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CCS(Carbon Capture and Storage)는 탄소를 포집해 저장하는 방식이다.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포잡해 대기로부터 격리시켜 저장한다. 육상이나 해저의 깊은 지층에 포집한 탄소를 저장하는 지중 저장이 대표적이다. 화석연료 대신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해 탄소 배출을 줄이는 방식과 차별화된다.

산업부 등은 CCS를 통해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키로 하고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1200만t 규모의 저장이 가능한 동해가스전을 활용한다. 가스 채굴이 완료된 동해가스전의 동공에 연간 40만t씩 30년간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주입해 보관한다.

동해가스전 CCS 실증 사업은 관내 기업체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뒤 순도 95~99% 상태로 압축·액화해 임시저장소에서 관로를 통해 동해가스전에 주입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산업부는 지자체 선정 공모 당시 총 사업비를 1조원 수준으로 추산했지만, 상당히 유동적이다. 일단 포집·수송·저장 및 모니터링 등 사업 전 단계에 대한 실증 환경 조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7000억원대, 포집·유지보수·시추공 기술, 해양 누출에 대비한 대응 시스템 등 실증 R&D 개발에 2000억원대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사업은 울산이 주력 지자체가 돼 진행된다. 향후 대규모 실증 등으로 사업이 확대될 경우 타 지자체가 관여하는 형태로 진행될 수도 있다.

동해가스전 활용 CCS 실증 사업은 진행 과정에서 조 단위에 달하는 막대한 투자가 유치되는 것은 물론, 울산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연구기관과 기업을 유치하는 등 울산이 CCS 사업의 메카로 자리 잡는 효과도 기대된다.

관건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예타 통과 여부다. 이를 위해 산업부와 해수부는 이번 용역을 통해 기본 설계안 등 인프라 구축 방향을 설정하고, 포집 이산화탄소 임시 저장소 최적 운영 기술 등 실증 R&D 기획도 진행한다.

산업부 등은 오는 2분기 중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예타를 신청한다는 계획이다. 사업은 2024년부터 2030년까지 7년간 연차적으로 추진하는 게 목표다.

산업부 관계자는 “추정 예산 규모가 막대한데다 자재 가격 등에 따라 사업비의 변동 가능성이 크다”며 “사업비 상승분을 최소화하고 효율성을 제고하는 쪽으로 용역을 진행한 뒤 예비 타당성 조사를 신청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