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자연이 함께하는 녹색도심" 제주시는 친환경적 생태도시 건설을 목표로 오는 2006년까지 대규모 맞춤형 녹색 주거·행정단지인 "시민복지타운"을 조성하고 있다. 시민복지타운은 전체 면적의 20%를 공원, 녹지, 하천 등 자연친화적 공간으로 확보했다.

 제주시는 지난해 10월 도남동 1038 일대 43만㎡(13만평) 규모에 1천283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시민복지타운 조성사업에 착수, 오는 2006년 12월 완공할 계획이다.
 시민복지타운은 주거단지와 지방정부종합청사(제주도내 17개 정부산하기관 입주), 제주시청, 농업기술센터, 방송·통신시설, 공원·하천(열린공간) 등으로 조성되고 있다.
 특히 시민복지타운은 전체 면적의 20%를 공원, 녹지, 하천, 광장 등 자연친화적 열린공간으로 확보해 다른지역의 신도시(친환경 면적 7~10%)보다 생태적인 측면을 우선, 녹색도심으로 조성하고 있다.
 ◇생태 주거단지
 제주시는 준주거지역내 간선도로변 건축물의 경우 최저 2층 이상에서 최고 5층 이하로, 단독주택과 다가구주택이 들어설 수 있는 제1종 일반주거지역은 최고 3층 이하로 각각 높이를 제한했다.
 제1종 일반주거지역에서 다가구주택을 신축할 경우 1층에 주차장을 설치토록 했고, 이를 포함한 건축물 높이를 4층까지 허용할 예정이다.
 특히 한라산 전망과 바다 조망권을 위해 준주거지 용적률도 법적기준 700% 이하보다 크게 강화한 350%이하로 설정했다.
 제주시는 또 시 건축조례상 제1종 일반 주거지역 조경의무면적을 대지면적의 5%이상으로 규정해놓고 있으나 개발지구에서는 30%이상으로 크게 강화했다. 여기에다 조경 면적의 25%이상에 나무를 심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공공청사 등이 건립될 제2종 일반 주거지역의 경우에도 반드시 옥상에 조경을 하도록 했고, 담장과 건축물의 형태, 외벽면 처리도 일률적으로 규제하게 된다.
 일반 주거지역의 담장은 높이 1.5m이하의 생울타리(구조물 울타리 불가)를 설치토록 의무화했다. 준주거지역의 지붕형태도 경사지붕으로 단일화 했을 뿐 아니라 인접한 건축물과 최대한 조화를 이루도록 규제했다.
 이와 함께 준주거지역내 건축물 가운데 일부는 1층 전면 벽의 50%이상을 투시벽으로 처리토록 했고, 간판으로 미관을 해치는 것을 막기 위해 광고물도 2층 이하에만 설치할 수 있도록 했다.
 ◇생태공간 확보
 시민복지타운내 인도는 잔디, 인도블록을 사용해야 하고, 주요도로도 아스팔트와 자연친화적 블록을 병행·조성된다.
 이면도로는 아스팔트를 완전히 배제한 블록으로만 만들고, 도로변 건축의 경우 2~6m 안쪽으로 들어가 지어야 한다.
 주거지역 건물간 울타리는 친환경적인 나무 자재를 이용한 수벽형태로 만들어야 하고, 자투리땅에는 포켓공원이나 쌈지공원 등을 조성해 복지타운 광장과 조화로운 생태축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 시민복지타운내 건축물의 경우 황토색, 주홍색, 녹색, 청색, 흰색 등의 채색을 권고하고 있다.
 ◇생태적 도시계획
 제주시는 "인간과 자연이 상생하는 녹색도심"을 통해 쾌적한 도시환경과 시민 공공복리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제주시는 또 지구단위 계획의 상세성과 융통성을 기본으로 보편적인 건축행위를 제한, 신도시 건설목표에 부합된 입체적인 토지이용도 및 효율적인 도시관리체계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제주시는 주변 공원시설과 사업지내 공원간의 유기적인 연계축 구축을 통해 환경 친화적인 생태도시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반면 일부에서는 토지 이용의 효율성 저하와 저밀도 개발로 인한 향후 제주시 외곽지의 자연녹지 잠식도 우려하고 있다. 여기에다 비슷한 형태와 색채로 인한 건축물의 독창성 상실, 주변 지가 상승 등의 부작용도 제기되고 있다.
 제주시 조용보 계장은 "시민복지타운은 친환경적인 녹색 주거·행정단지로 조성되고 있다"며 "개발과 생태를 충분히 고려한 도시계획을 통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같은 친환경적 생태도시는 도시계획 입안단계부터 생태적 개념의 적극적인 도입을 통해 향후 개발중심의 도시계획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해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올해를 생태도시 원년으로 선포한 울산시는 신 주거단지와 산업단지 조성과 관련, 생태적 개념의 도입을 통한 도시계획 입안이 과제로 제시되고 있다. 박정훈기자 jhpark@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