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내달초 이사회 열고

법인설립·정문위치 등 확정

설계용역 후 올 하반기 착공

원전해체산업 중심지 목표

市, 전문가 워킹그룹 출범

▲ 자료이미지
문재인 정부 탈(脫)원전 정책의 핵심기지로 울산과 부산이 공동유치한 원전해체연구소가 다음달 법인 설립을 시작으로 조성공사에 본격 들어간다. 원전해체연구소 대표성의 상징인 정문 출입구를 사실상 확보한 울산시는 원전해체산업 전략적 요충지로의 도약에 행정력을 결집하고 있다.

20일 울산시에 따르면 한국수력원자력은 오는 3월초 이사회를 열고 원전해체연구소 법인 설립을 확정한다. 법인은 공공성을 고려해 비영리 공익재단 형태다. 이사회는 정관 주요사항(법인개요, 의결정족수 등), 법인 이사장 및 이사 선임, 설립취지, 사업계획서, 상근임직원 정수 등을 결정한다. 법인 이사는 한수원, 한전KPS, 울산시, 부산시, 울주군, 기장군 관계자 등 10명으로 구성된다.

한수원 이사회는 출연금 사용 방안도 확정한다. 출연금은 한수원이 1500억원, 산업통상자원부 750억원, 지자체(울산시, 부산시, 울주군, 기장군) 250억원 등 총 2500억원이다. 출연금 중 한수원의 1500억원은 연구소 건립에, 나머지 산업부와 지자체의 분담인 1000억원은 현물 출자 방식으로 원전해체 R&D시설 구축에 사용된다.

이사회는 정문 출입구와 세수 분배 사안도 결정한다. 특히 정문 출입구는 큰 관심사다. 정문이 들어서는 지자체가 보다 많은 유치의 혜택을 볼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법인설립 추진위원회의 협의결과, 울산쪽으로 의견이 기운 것으로 파악된다. 부산쪽은 지형적 문제로 정문의 규모가 크게 줄어들고, 진입도로의 폭 또한 좁아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반면 울산쪽은 정문과 진입도로 설치에 장애가 없다. 또한 인접해 조성된 에너지융합일반산단(울주군 서생면)과 원전해체 관련 기업들이 울산쪽에 집중돼 있다는 점도 작용했다.

다음달 법인설립이 마무리되는 즉시 원전해체연구소 설계용역에 들어간다. 이어 올해 하반기에 부지정지 작업과 함께 공사에 들어간다. 준공은 2024년으로 예정돼 있다.

연구소 건립이 본격화되면서 울산시는 원전해체산업 중심지로의 도약에 집중하고 있다.

울산시는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을 세우고 10대 과제를 추진 중이다. 과제는 △원전해체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 △원전해체 전문기업 육성 및 기업지원사업 지속 추진 △원전해체 전문인력 양성 △원전 제염·해체 융·복합 기술 개발 △원전해체 폐기물 처리 및 환경 복원 △원전해체 시설 안전성 확보 △원전해체 소재부품 성능평가 및 신뢰성 인증 강화 △원전해체 글로벌 진출 △방사성 이용 및 자원 재순환을 통한 부가가치 증대 △원전해체 국·내외 협력강화 사업추진 등이다.

울산시는 이날 ‘원전해체산업 육성 전문가 워킹그룹’을 출범했다. 워킹그룹은 연구개발(R&D), 인력양성, 산업지원, 인증시험, 해체 절단, 폐기물, 환경복원 등 6개 분야 전문가 25명으로 구성됐다. 참여 기관은 울산시와 원자력대학원대학교, UNIST, 울산대, 한국과학기술 정보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울산정보산업진흥원, 울산테크노파크, 울산발전연구원,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한국원전해체 기술협회, 원전해체산업기술연구조합, 기업 등이다. 워킹그룹 주요 역할은 원전해체산업 관련, 공동 국비 사업 발굴·기획, 원전해체산업 비전 마련, 장단기 공동 과제(사업) 발굴, 원전해체산업 육성정책 제안과 홍보대사 역할 수행 등이다. 최창환기자 cchoi@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