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경연, 한계기업 동향 분석

우리나라는 신종코로나사태 이전부터 부실기업이 빠르게 늘어 왔기 때문에 타격이 더 클 것으로 우려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9일 이같은 주장이 담긴 ‘한계기업 동향과 기업구조조정 제도에 대한 시사점’ 보고서를 발간했다. 한경연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외부 감사를 받은 비금융기업 2만764개사를 분석했다.

그 결과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을 감당하지 못하는 한계기업의 수는 작년 311개사로 2018년(2556개사)보다 17.8% 늘어났다고 밝혔다.

또 한계기업에 고용된 종업원 수는 2018년 21만8000명에서 작년 26만6000명으로 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계기업 소속 종업원 수는 2016년에 정점을 찍은 후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작년에 증가세로 돌아서며 최근 5년 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 중 한계기업의 수가 2018년 341개사에서 2019년 413개사로 1년만에 21.1%(72개) 늘었다. 이들 기업의 종업원 수는 작년 14만7000명으로 2018년(11만4000명)보다 29.4% 증가했다.

중소기업 중 한계기업은 2213개사에서 2596개사로 17.3%(383개) 늘었다. 종업원 수는 14.1% 증가했다.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도 한계 기업 증가 속도는 빠른 편이다.

전체상장사 수가 30개 미만인 국가와 조세회피처를 제외한 20개국의 세계 주요 거래소 상장 기업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는 상장사 한계기업 증가율이 두 번째로 높았다.

우리나라의 상장사 중 한계기업 수는 2018년 74개사에서 작년 90개사로 21.6% 증가해 가장 높은 일본(33.3%) 다음이었다. 대만, 중국이 그 뒤를 이었다.

전체 상장 기업 중 한계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3% 늘어 20개국 중 증가폭이 가장 컸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상장기업 중 한계기업 비중이 주요 국가에 비해 낮은 편이지만 증가 속도가 가파르다는 점을 지적했다.

한경연 김윤경 연구위원은 “기업의 재무상황, 사업기회 등의 차이를 반영한 다양한 구조조정 수단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