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에도 농가 인구가 늘고 있다. 지난 1년간 1만명 가까이 늘어났다. 그것도 50대가 가장 많다고 한다. 베이비부머들이 은퇴하면서 농사로 눈을 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인구 유입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도농복합도시인 울산의 장점을 살려 농촌의 기반시설 확충과 귀농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농림어업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2월1일 기준 울산지역 농림어가(農林漁家) 인구는 총 4만102명이다. 이 가운데 농가 인구가 92.1%(3만6935명)나 된다. 1년 전 2만7208명과 비교해 9727명(35.8%)이나 늘어났다. 특히 눈여겨봐야 할 것은 50대의 대폭적인 증가다. 2019년 4720명에 불과했던 50대 농가 인구는 2020년 3335명이나 늘어난 8055명으로 집계됐다. 60대 농가 인구 역시 1만496명으로 전년도(7391명) 대비 42.0%(3105명) 증가했다.

50~60대의 대거 유입은 농가의 고령화를 늦추고 있다. 65세 이상 고령자의 비율은 전년도(39.8%) 대비 7.0%p나 줄어든 32.8%이다. 국민의 먹거리를 책임지는 농촌의 고령화는 국가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많은 농촌은 이미 초고령사회로 접어들었다. 이런 가운데 울산지역 농촌에 50대 인구가 급속하게 늘고 있다는 것은 여간 반가운 일이 아니다.

당연히 농가 인구는 울주군에 편중돼 있다. 울주군이 1만5811명으로 가장 많았고, 남구 6804명, 북구 6557명, 중구 6149명, 동구 1614명 순이다. 농가 인구 5명 중에 2명은 울주군에 거주한다. 울산시와 울주군이 행정적 협조를 통해 울주군의 농가 활성화를 위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그런데 오히려 울산시와 울주군이 지속적인 갈등을 빚으면서 행정적 불협화음이 노골화하고 있다고 하니 우려를 하지 않을 수 없다.

울산시와 울주군은 인사와 재난지원금 지급 등에서 이견을 표출하면서 갈등이 시작됐다. 두동·두서 공공타운하우스가 울산시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통과하지 못한 것을 두고도 시­군 갈등이 원인이라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도시계획위원회의 독립성과 투명성 문제는 차치하더라도 타운하우스가 젊은 층의 농촌 거주를 장려할 수 있는 촉매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일방적으로 부결시킬 이유는 없다. 인구증가와 고령화대책이 얼마나 시급한 문제인가. 시­군이 함께 개선방안을 찾아나갈 필요가 있다. 군의 독주행정이 문제라는 비판도, 울산시의 갑질이 문제라는 비판도 각자 새겨들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