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은 역시 노동운동의 메카였다.
 전국공무원노조의 파업 첫날인 15일 전국적으론 2~3%(공무원노조 발표 32%)의 낮은 파업 참가율로 미미한 수준에 그쳤으나 울산은 60~70%대(공무원노조 발표 90%)의 전국 최고의 파업 참가율을 보였다.
 당초 울산본부 울산지부와 상수도본부지부, 울주군지부 등이 총파업 불참을 선언하면서 파업 참가율이 저조할 것이라는 견해가 일반적이었으나 막상 뚜껑을 열고 보니 예상을 훨씬 뛰어넘었다.
 특히 민주노동당 소속 지방자치단체장인 동·북구청은 그렇다 하더라도 한나라당 소속 단체장인 중·남구의 파업 참가율은 예상 밖이었다. 중·남구의 경우 오후들어 복귀율이 높아진 북구지부 보다 오히려 참가율이 높았다.
 일단 북구와 동구청 등 전국에서 유일하게 울산에만 있는 민주노동당 소속 구청장이 공무원노조의 활동을 인정하며 대화의 파트너로 여겨왔고 가까이 있는 중구와 남구도 그 영향을 받은 것이라는 분석이다.
 북구는 공무원노조의 결성이 구체화된 2002년초 당시 조승수 구청장이 "공무원 노조를 지지한다"고 밝혔고 뒤를 이은 이상범 구청장도 민주노동당 출신으로 정부의 노조탄압을 비판해 왔다.
 이갑용 동구청장도 2002년 정부의 불허방침에도 불구하고 공무원노조의 서울집회에 참가하려는 직원들에게 연가를 허가해주는 등 정부방침과 달리 노조를 두둔해 왔다.
 특히 이번 총파업을 앞두고 동·북구청장은 공동 기자회견을 갖고 정부의 공무원노조 탄압중단을 촉구하기도 했다. 북구청은 그나마 간부들이 나서 파업자제를 유도하려 했으나 동구청은 이런 움직임마저 없었다.
 울산이 전통적으로 노동운동의 도시로 민주노총 등 노동세력이 타 지역에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강하다는 것도 중요한 이유로 꼽힌다. 공무원노조 파업과정에 대한 지원도 체계적으로 일사불란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공무원노조로선 든든한(?) 울타리를 갖게 된 셈이다.
 또 매년 되풀이돼 온 기업체 근로자들의 임단협 파업투쟁시 정부와 해당 기업의 엄중대응 방침은 무너지기 일쑤였고 결국 노조의 의견을 상당부분 수용하고 사법처리도 흐지부지되는 결과가 일반화된 것도 한 원인으로 풀이된다.
 이런 상황에서 울산지역 검찰과 경찰의 대응도 강·온 양면전략 구사에 실패함으로써 총파업 참가율을 오히려 높이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지적이다.
 검·경은 지난 6일 파업 찬반투표 결의대회와 관련, 전국에서 처음으로 이를 주도한 간부 3명에 대한 체포영장을 발부받는 등 발빠른 대응을 보였다.
 그러나 이후 동구지부의 파업찬반투표 강행 등에 대해 때늦은 대응과 공무원노조 간부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이 자발적이든 비자발적이든 지연되면서 결국엔 총파업 참가율을 높인 계기가 된 셈이다.
 공무원노조 관계자는 "울산 검·경이 전국에서 처음으로 지역 간부들에 대해 체포영장을 발부하는 등 강경대응한 것이 조합원들에게 간부들을 지켜야 한다는 절박감을 심어줘 (2002년때와 비슷하지만) 파업 참가율을 높인 계기가 된 것으로 보인다"며 "차후 조합원의 불이익이 부담이 되지만 지금까지 과정을 거쳐 볼때 파업을 강행하지 않는다 해서 처벌 등에 큰 차이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형욱기자 shin@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