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5 공동선언이 채택된 지 만 2년이 지났다.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그 기간이다. 공동선언 채택 이후 지난달 말까지 남북을 왕래한 인원은 2만명 가까이 된다. 수십만 명에 이르는 금강산 관광객을 제외한 왕래 인원이 이 정도인 것이다. 양측 간에 인적교류가 시작된 89년부터 6.15 이전까지 10년이 넘는 기간에 왕래한 숫자는 5천명이 채 안 된다는 사실과 비교해 볼 때 한마디로 놀라운 변화이다.

 이산가족 상봉사업이 지지부진하다는 불평도 있으나 과거 어느 때보다 상봉의기회가 많았다는 사실도 인정해야 할 것이다. 정상회담 직후부터 시작된 네 차례의 이산가족 상봉사업에서 모두 4천500여명의 가족들이 재회의 감격을 맛보았다. 헤어진 가족의 생사와 주소를 확인하거나 서신을 교환한 사람들도 7천500여명에 이른다.

 경제협력 역시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00년에 최초로 교역규모가 4억달러대에 이르렀고 지금은 380개 업체가 600여 품목을 취급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무엇보다 소중한 성과는 남북 사이의 전쟁발발 가능성이 현저히 낮아졌다는 것을 피부로 느끼게 된 점이다. 최대 규모의 국제행사라는 월드컵 대회를 치르면서도 과거 올림픽 개최 때와 같은 대북 경계심은찾아 보기 어렵다.

 그러나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민간 분야의 교류는 별다른 굴곡없이 활기차게 진행되고 있으나 당국 간 접촉과 대화는 지난해 말 장관급 회담 이후 뜸해지고 있다. 북측은 경제협력추진위 회의에 이어 금강산관광활성화 회담마저 뚜렷한 이유 없이 무산시켰다. 예기치 못한 사정이 생겨 불참하게됐다면 사후에라도 해명이 있어야 할 것이나 금강산 회담의 경우에는 작정이라도 한듯이 아예 아무런 말이 없다. 사전에 불참을 통지하고 상대방의 양해를 구하는 일이그렇게도 어려운 일인지 우리로서는 납득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북측의 약속 불이행만 따질 게 아니라 자신의 뒷모습도 돌아봐야 한다는 것이다. 6.15 선언 이후 남측의 대북인식이 달라졌다는 증거가 뭐가 있느냐는 비판의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6.15 선언의 초심으로 돌아가 상생의 길을 찾는 데 지혜를 모아야 할 때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