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가 울산 앞바다, 포항 다모포, 제주 성산포 등을 대상으로 '고래관경 도시'지정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언론에 보도된 것은 오래전 얘기다. 그런데 이같은 움직임에 제동이 걸렸다. 동해안 고래관광이 기상 불안정 등으로 "현실성이 없다"고 밝혀진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렇다. "동해안은 돌고래가 발견되는 곳이 해안에서 12마일(배로 1시간 거리)이나 떨어져 있어 관경에 최소 5시간 이상 걸린다. 따라서 연중 파고가 높고 기상이 좋지 않아 배를 타고 고래를 관찰하는 일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동해안 선상 고래관광이 현실성이 없는 이유는 또 있다. 관경을 위해서는 파고가 1m가 넘지 않아야 되는데, "동해는 겨울에는 북서 및 북동풍, 봄과 가을은 서풍, 여름철 오후에는 남동풍(돌풍)이 불어 연평균 파고가 2~4m나 돼 여름철 한달여, 그것도 오전 시간을 제외하고는 선상 광경이 어렵다"고 한다. 해양부의 설명이니 믿지 않을 수도 없다.

당혹스러운 것은 울산광역시가 아닌가 싶다. 이달 말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국제포경위원회(IWC)총회가 열리게 돼 있어, 각종 고래 인프라와 연계한 고래관경 선정도시 선정에 상당한 공을 들여 왔기 때문이다. 시는 이 과정에서 울산 연안은 고래를 눈으로 관측하는 목시 조사에서 개체수가 포황과 성산포에 비해 떨어진다는 해양부의 발표에 반발, 이달부터 두 달간 울산 앞바다에서 관경사업이 가능한지 직접 조사에 착수하기도 했다.

아무튼 울산 앞바다 등 동해안에서의 고래관경은 현실성이 없다는 것으로 얘기되고 있는 만큼 이제 울산시가 이를 어떻게 수용할 것이냐는 문제만 남은 것 같다. 선상 고래체험이 어렵다면 고래생태 관광 쪽으로 방향을 선회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울산 반구대 암각화와 장생포항, 고래박물관, 고래연구소, 고래축제 등을 연계해 새로운 아이템을 개발해야 한다는 뜻이다. 안그래도 고래 포확여부를 놓고 찬반이 엇갈리고 있는 마당에 울산시의 입지는 더욱 좁아지고 있다는 인상을 지울 수가 없다. 그렇더라도 고래에 관한한 가장 깊은 역사를 지니고 있는 곳이 울산이다. 관계자들이 서로 지혜를 모은다면 고래도시로서의 입지를 다지면서 위상 또한 확실하게 정립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