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음식을 먹을 때 침이 분비되는 메커니즘이 국내 연구팀에 의해 처음으로 밝혀졌다.

연세대치대 구강생물학과 김희진 교수팀은 얼굴 볼의 귀밑샘관(침샘관) 끝부분에 위치한 '근육섬유'가 '볼근(Buccinator muscle)'을 이완 또는 수축시킴으로써 침의 분비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확인했다고 해부학 분야의 권위지 'Journal of Anatomy' 최근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사람은 3개의 큰 침샘(혀밑샘, 귀밑샘, 턱밑샘)에서 아밀라아제와 같은 소화 효소를 가진 침을 분비한다. 이 침은 음식물의 분해를 돕기도 하고 침에 들어있는 수분이 음식물을 부드럽게 해 치아가 잘 씹도록 하는 등 1차적인 소화기능을 담당한다.

지금까지는 이 같은 침 분비가 구강 내 음식물의 자극과 맛 또는 냄새 등에 의해 자율신경이 반응하고, 입안으로 열려있는 침샘관을 통해 저절로 침이 흘러 들어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김 교수팀이 세 침샘 중 가장 크고, 음식물을 씹을 때 침이 대량 분비되는 귀밑샘관 부위를 해부학적으로 조사한 결과 볼근부터 귀밑샘관 끝의 바깥 층까지 연결된 '근육섬유'가 존재하는 것으로 새롭게 밝혀졌다.

이 근육섬유는 우리가 음식물을 씹을 때 수축과 이완을 반복적으로 하는 볼근의 작용에 따라 침을 모으고, 분비하는 조절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합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