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쇼크·혈관염등 부작용 위험 커
약 못먹는 환자나 응급시에만 사용
선진국선 5%이내 적정선으로 꼽아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지난 2월 의료기관별 항생제 처방률을 공개한 데 이어 15일에는 주사제 처방률을 공개, 파장이 일고 있다. 특히 주사제 처방률이 발표된 뒤 일반인들은 병원에서 주사제를 처방받는 게 과연 무엇이 잘못됐는지를 놓고 궁금해 하고 있다.

이번에 보건당국이 발표한 주사제 처방률에는 외래에서 먹는 약(경구제)으로 대체하기 어려운 일부 주사제(에리스로포이에틴, 항혈우인자, 항암제, 인슐린, 성장호르몬제 등)는 제외됐다.

보건당국의 설명에 따르면 일반적인 주사제는 먹는 약에 비해 체내 흡수가 빠른 장점이 있지만 급성쇼크와 혈관염 등 부작용 위험이 커 약을 먹을 수 없거나 응급한 경우 등에 사용토록 권장되고 있다. 이에 따라 주사제가 남용되는 것은 오히려 더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게 당국의 판단이다.

복지부는 이 같은 근거로 미국과 영국, 호주 등 외국에서 1~5%를 적정 주사제 처방률로 보고 있다는 점을 꼽고 있다.

주사제 처방률에 대한 의료계의 입장도 보건당국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번 조사결과만 놓고 봤을 때도 중증 환자비율이 높은 대학병원(3.59%)이나 종합병원(9.96%)보다 병원(26.27%)이나 의원(27.91%)의 주사제 처방률이 높은 것은 이해가 되가 되지 않는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한 대학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패혈증이나 심뇌막염, 뇌수막염 등의 특수 감염증에는 반드시 주사제를 써야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2주간 꾸준히 주사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면서 "하지만 이런 환자들은 대부분 3차 진료기관에 집중되기 때문에 개원가의 주사제 처방률이 대학병원보다 높은 것은 분명히 잘못된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먹는 약의 경우도 급성쇼크와 혈관염 등의 부작용이 없는 것도 아닌데 이번 발표에서 굳이 주사제만 문제 삼는 것은 상대적으로 의료비용이 큰 주사제를 처방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 아니냐는 볼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병원의 의사는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주사제의 부작용은 먹는 약도 마찬가지"라며 "너무 처방률이 높은 것은 문제지만 복지부가 적정한 기준도 없이 처방률이 높은 병원을 싸잡아 매도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주장했다. 연합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