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어렸을 때 일이다. 정월대보름 아침 일찍 이웃 친구가 불쑥 찾아와서 불렀다. 나는 엉겁결에 "왜?"하고 대답을 했다. 그러자 그 친구는 "내 더위"라고 말을 했다. 아뿔사 나는 내가 먼저 "더위"하고 외쳤어야 하는 건데. 그 해 나는 그 친구의 '더위'를 대신 먹을 수 밖에 없었다.

이런 풍속을 '더위팔기'라고 했으며, 이렇게 우리는 정월대보름을 시작하곤 했었다. 정월대보름은 우리 민족 명절 중의 하나이다. 율력서에 의하면 정월은 사람과 신,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이 하나로 화합하고 한 해 동안 이루어야 할 일을 계획하고 기원하며 점쳐보는 달이라 한다.

우리나라 전통사회의 농가에서는 정월을 '노달기'라 하여, 농민들은 휴식을 취하며 농사준비를 한다. 또 다양한 제사의식과 점치기와 각종 놀이가 벌어진다. 지방마다 차이가 있지만 울산에서도 우정동 당사나무, 태화동 당사나무 아래서 풍요로운 농사와 마을의 안녕을 비는 동제(洞祭)가 치러지고 있다.

대보름날 아침 일찍 생밤, 호두, 은행, 잣, 땅콩 등의 견과류를 깨물면서 "일년 열두 달 동안 무사태평하고 종기나 부스럼이 나지 않게 해주십시오"라고 기원함과 동시에, 깨물 때 '딱'하는 소리에 잡귀가 물러간다고 생각한 '부럼깨기'를 했다.

동네 아이들은 대보름날이 되면 '액연(厄鳶) 띄운다'고 하여 연에다 '액(厄)'자 하나를 쓰기도 하고 "송액(送厄:액을 날려보낸다)" 이라고 써서 얼레에 감겨있던 실을 모두 풀거나 끊어 멀리 하늘로 날려 보냈다.

농촌에서는 쥐를 쫓는 뜻으로 논밭둑에 불을 놓는 '쥐불놀이'가 있었다. 이날은 마을마다 아이들이 논두렁이나 밭두렁에다 짚을 놓고 해가 지면 일제히 "망월이야"하고 밭두렁과 논두렁, 마른잔디에 불을 놓았다. 불은 사방에서 일어나 장관을 이루는데, 이것을 '쥐불놀이' 또는 '쥐불놓이'라 했다.

초저녁에 뒷동산에 올라가 달맞이를 하는데 맞는 달의 모양, 크기, 출렁거림, 높낮이 등으로 1년 농사를 점치기도 했다. 또 대보름날 밤에 달집태우기를 했으며, 짚이나 솔가지 등을 모아 언덕이나 산 위에 쌓아놓고 보름달이 떠오르기를 기다려 불을 질렀다.

이밖에도 다 열거하기 힘들 정도로 정월대보름에는 각 지방별로 특색있는 풍속이 많았다. 이렇듯 음력 설이 지나고 나면 정월대보름은 우리 민족의 큰 명절 중 하나였다. 그러던 것이 오늘날 산업사회로의 변천이 가속되고 농경문화가 붕괴되면서 정월대보름의 정겨운 모습은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다만, 전통문화를 아끼는 몇몇 단체와 지방자치단체의 연례행사로 그 명맥을 잇고 있는 현실에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수 없었다. 그나마, 이제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산발적으로 실시하던 정월대보름 행사를 광역시 차원에서 통합추진한다니, 오순도순 모여 동네잔치 분위기를 느낄수 있었던 예년에 비해 인간미와 인정이 사라진 행사가 되지 않을까 염려스러운 마음이다.

더욱이 2007년도 정월대보름 통합행사에는 5개 구·군 가운데 중·남구 2개 구만 통합추진한다는 점에서 반쪽도 안되는 통합행사로 '무늬만 통합행사'가 되고 마는게 아닌가 우려스럽다.

바라건대, 주최측에서는 올해의 정월대보름 통합행사를 치르고 그 결과에 대한 냉철한 분석을 통해, 내년 정월대보름 행사 기획시에 적극 반영하기를 기대해 본다. 울산 시민들 모두를 한 용광로에서 한 뜻으로 녹일수 있는 정월대보름 행사가 자리잡아 갈 수 있도록 모두의 지혜가 필요한 시점이다.

박문태 울산중구의회 내무위원장

※외부 기고는 본보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