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가 202개 경제.무역.사회지표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습을 그린 책자를 내놓아 관심을 끌고있다. 지구촌에서 우리나라가 차지하는 비중과 우리 국민 개개인의 삶의 질은 어느 수준인지를 짚어보게 한다. 긍정적인 측면은 활발한 대외거래, 인터넷을 비롯한 정보통신 분야의 약진 등이었다. 취약하거나 위험수위에 달해 개선이 필요한 부분으로는 인구조밀, 고물가, 에너지 다소비, 교육비 과다지출 등이 꼽혔다.

 세계에서 교역규모가 13위인 무역 대국으로서의 위치나 3위인 인터넷 강국으로서의 위치는 향상시키면 시킬수록 좋은 일이다. 취약점들의 원인을 정밀 분석, 지금부터라도 차분하게 개선을 위한 작업에 착수하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아무리 산업용 에너지 소비가 많다고는 해도 에너지 자원이 태부족인 국가가 에너지 다소비국으로 분류됐다는 점은 다함께 반성해야 할 부분이다.

 우리 국토면적은 조사대상 230개국중 109위에 머물고 있는 반면 인구는 26번째로 많아 인구밀도가 13위로 나타났다. 산지가 많기 때문에 가용면적만을 놓고 계산하면 인구밀도가 더욱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계산이 나온다. 그런 형편에 전국의 가용면적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사람과 각종 시설물이 수도권에만 날로 모여들고 있으니 이건 그야말로 국가적 과제로 삼아야 할 문제다.

 1인당 GNI(국민총소득)가 조사대상 205개국 중 51위에 불과한 우리나라 국민의 지출액중 교육비 지출 비중이 조사대상 30개국중 1위에 올랐다는 사실은 높은 교육열 외에도 기형적인 수도권 형태와 무관치 않다. 당국은 더이상 수도권 신도시 개발을 단골 메뉴로 삼아서는 안된다는 점도 이 조사는 지적하고 있는 것이다.

 이혼율이 미국, 영국에 이어 조사대상 30개국중 3위에 올랐다는 사실은 새삼스럽지는 않지만 다시 한번 우리 사회 구성원들의 급변하는 가치관과 급부상하는 여성문제 등을 보여준다. 얼마전 통계청 조사에서 밝혀진 결혼율 저하, 인구증가율의 급격한 둔화 현상 등과 함께 이혼율 증가도 국가적 차원의 개선노력이 필요한 부분으로 지적된다. 지방 활성화 대책, 이혼율을 포함한 가족 및 인구 문제 등은 대선 주자들도 본격적인 정책 대결사항으로 삼을만 해 보인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