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연=오늘의 시각-송귀홍 정경부장

제16대 대통령을 뽑는 선거가 11일 현재 69일 앞으로 성큼 다가온 가운데 울산이 전국적인 관심지역이 되고 있다. 출사표를 던진 각 대선후보측이 저마다 울산과의 인연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는 지난 97년 대선때 울산지역에서 과반이 넘는 51.4%의 득표율을 올린 점 등을 들어 텃밭임을 자부하고 있다. 이후보는 오는 17일 울산지역 대선 선대위 발대식과 26일의 울산중구지구당 개편대회에 잇따라 참석, 지지열기를 고조시킨다는 방침이다.

 이달말 신당 창당계획인 정몽준 후보는 울산대 재단이사장, 현대중공업 대주주를 지내며 울산동구 국회의원 선거에서 내리 4선을 하는 등 울산이 정치적 고향이다. 정후보는 오는 16일 서울 교육문화회관에서 창당발기인대회를 가진 뒤 중앙당 창당대회 전 울산을 찾아 바람몰이를 할 예정이다.

 민주당 노무현 후보는 젊은 시절 길진 않지만 울산에서 노동자생활을 했고, 노동운동 때 맺은 울산지역과의 인연을 강조하고 있다. 노후보는 당내 대선후보 경선 당시 제주에 이어 두번째로 실시된 울산에서 1위로 올라서기도 해 당내분 해소 뒤 울산을 찾는다는 계획이다.

 민주노동당 권영길 후보는 울산이 민노당의 최대 지지기반이라는 점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권후보측은 오는 25일 울산지역 대선 선대위 발족 및 필승다짐대회에 참석해 지난 6·13지방선거 당시 지지바람을 다시 일으키며 그 진원지로 삼는다는 복안이다.

 이처럼 현 시점에서 주요 대선후보들이 울산과의 인연을 강조하며 유권자 표심을 호소하는 상황 속에서 선거일이 다가올수록 표밭갈이 유형과 전략도 더욱 다양하게 전개될 전망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각 후보 지지조직간에 상호 비방전과 흑색선전 등 구태도 재연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맞물려 향후 5년간 국정을 책임질 대통령을 선출하는 중대하고도 최대의 정치행사가 각 후보측의 난타전으로 유권자들 사이에 정치 혐오주의와 냉소주의를 만연시킬 소지도 다분하다.

 그러나 유권자들에게도 최고의 국정책임자를 선출하는 이번 대선의 주권행사를 소홀히 해서는 안될 책임과 의무가 있다. 역대 대선이 그러했듯이 오는 대선도 나라의 명운을 좌우한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만큼 중차대한 선거이기 때문이다.

 어느 후보가 나라를 제대로 이끌 것인지, 국민을 편안하게 해줄 후보가 누구인지 등에 대한 고심을 해야 한다. 이러한 고심의 과정에는 각 대선후보들이 살아온 과거와 유권자들에게 내거는 정책과 비전, 공약이 무엇인지를 곰곰히 비교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울산지역 유권자라면 각 후보들이 울산과 관련해 어떠한 공약을 내세우는지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실현가능한 공약인지, 남발하는 것은 아닌지도 따져봐야 한다.

 지난 92년말 제14대 대선 때 주요 후보들은 한결같이 울산의 광역시(당시 직할시) 승격과 국립대 설립 등을 공약했었다. 하지만 광역시 승격은 이뤘지만 국립대 설립은 15대 대선을 거치고도 아직 결실을 맺지 못하고 있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국립대 설립을 공약한 후보는 유권자와의 약속을 저버린 것이고, 유권자로서는 약속받은 공약이행을 독촉하지 않은 탓도 있다.

 이같은 맥락에서 이번 대선만큼은 누가 어떤 공약을 내걸고, 어떻게 실현하겠다는 뚜렷한 청사진을 제시하는 지를 두눈 부릅뜨고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것은 바로 선거를 정책대결의 장으로 만드는 첩경일 수 있다. 나라 살림이 국민세금으로 충당될진데 어떤 정권이 들어서야 더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살림살이를 할 것인지, 중앙과 지방의 균형적인 발전을 도모할 것인지, 국제사회에서 위상을 높일 것인지 등에 대한 판단은 더없이 중요하다.

 역으로 각 후보측도 지긋지긋한 정쟁 분위기에서 벗어나 정책선거를 지향해야 한다. 무엇보다 우리나라 경제의 대동맥인 울산지역에서는 정책과 비전, 실현가능한 공약으로 유권자들의 판단을 돕는 선거가 되도록 하는데 각 정당과 정파가 앞장서 주었으면 한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