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7월부터 하수 슬러지의 매립이 법적으로 금지되고 오는 2005년께부터는 슬러지의 해양투기까지 규제하자는 국제적인 움직임이 일고 있는 가운데 울산지역에서는 이에 대한 대응책이 마련되지 않아 상당한 혼란이 예상된다.

 20일 울산시에 따르면 울산지역에서는 온산·용연·회야 등 3개 하수종말처리장에서 9천700여t, 4개 정수장에서 6만t, 여천위생처리장에서 5천500여t 등 연간 7만5천200여t의 슬러지가 발생해 동해 공해상에 투기되고 있다.

 또 오는 2004년까지 방어진과 언양처리장이 완공되면 연간 2만여t의 슬러지가 추가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다 최근 서해상의 투기장이 한계에 도달해 내년부터는 슬러지가 동해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이 가운데 내년 7월부터는 슬러지의 매립이 전면 금지되고 국제적으로도 해양오염 방지를 위해 오는 2005년께부터 슬러지의 해양투기를 금지 또는 규제하자는 여론이 일고있어 전남도와 부산 등 국내 각 도시마다 소각시설 설치 등 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그러나 울산의 경우 이에 대한 아무런 대책이 없는 상태일 뿐 아니라 울산지방해양수산청은 오히려 36억원을 들여 폐기물 해양배출시설 집단화를 추진해 슬러지 처리대책에 난맥상을 드러내고 있다.

 해양청은 4개의 슬러지 해양투기업체가 저마다 저장소를 갖고 있어 환경을 오염시키고 항만미관도 저해하고 있다며 지난 2001년부터 울산화력 앞 준설토 투기장에 슬러지 저장소를 만들기로 하고 예산반영을 시도하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국내·외 동향을 제대로 파악하고 하루빨리 대책을 세워야 불필요한 예산낭비와 혼란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재명기자 jmlee@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