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 속에 물가는 오르고 소비심리는 크게 위축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3월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4.5% 상승됐다. 1년 7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셈이다.

 최근 물가상승은 국제 유가 급등 외에 기상 악화에 따른 농수산물 수급 불안과 등록금 등 서비스 요금 인상이 주도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런데 이상한 것은 물가가 오르면 통상 경기상승 국면이 나타나야 하는데, 정반대인 소비 투자 둔화와 경기침체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하기야 작금의 물가 상승은 이라크 전으로 국제 유가가 급등하면서 예상했던 일이기는 하다. 그렇더라도 그 추세가 너무 가팔라 가뜩이나 어려운 경제 운용에 부담을 주고 있어 걱정이다.

 울산의 경우 3월 이후 서서히 경기지수상의 불황이 나타나는가 싶더니, 최근 들어 소비심리마저 급속하게 냉각되고 있다. 표면적으로 잠복해 있던 산업단지내 기업체의 경기악화가 이라크 전쟁과 유가상승, 내수침체 등과 함께 표면적으로 표출되고 있기 때문이다. 환율과 유가에 민감한 석유화학 업종의 경우 가동률이 지난 2월보다 10% 가량 떨어지고, 자동차 업계도 기름값 인상과 소비심리 위축으로 내수시장이 크게 위축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소비심리 위축이 심한 곳은 서민경제 시장이다. 소규모 음식점과 옷가게 등에서는 이미 매출이 30% 이상 줄어들어 가계마저 위험수위에 놓여 있다는 소식이다. 여기에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괴질이 확산되면서 울주군의 경우 베트남시장 개척단의 파견을 취소하고, 여행업계도 중국과 동남아 지역의 단체 관광 자체를 취소 또는 연기하는 등 이래저래 지방경제 불황에 한 몫을 하고 있다.

 문제는 당국이나 울산시의 입장에서 뛰는 물가를 잡고 작금의 소비심리 현상을 완화하는 적절한 방법이 없다는 점이다. 그렇다고 손을 놓을 일도 아니다. 어려운 때일수록 단기대응과 함께 물가불안 요소를 구조적으로 해소하려는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 과감한 대외개방을 통한 경기침체 해소는 정부가 맡아 하되 울산시에서는 서민들을 위해 물가급등에 제동을 걸어야 한다. 물가가 오르면 그 여파는 봉급 소득자나 저소득층에 더 쏠리게 돼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