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은 각양각색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마음은 동물에 비유되곤 했다. 시인 매리안너 무어 (Marianne Moore, 1887~1972년)의 시 "The mind is an enchanting thing" (마음은 매혹적이다)에서 마음을 햇빛에 살아나는 비둘기의 목또는 햇살에 세분되어 그물이 드러나는 베짱이 날개의 윤기처럼 황홀해진 것이라고 했다 (The mind is an enchanted thing like the glaze on a katydid-wing subdivided by sun till the netting are legion).

 시인, 리차드 윌버는(Richard Wilbur) 마음의 순수 모습을 동굴을 홀로 날아다니는 박쥐와도 같다고 했다 (Mind in its purest play is like some bat / That beats about in caverns all alone).

 우리 인간의 기존 틀인 동굴에서, 가장 훌륭한 사고로(in very happiest intellection) 저지르는 마음의 우아한 오류로(a graceful error) 동굴을 시정할 수도 있는 것이(may correct the cave) 마음이다.

 전쟁을 선포한 미국의 결정에 신중론이 제시되는 까닭은 미국의 공격이 "우아한 오류"라 하더라도 혹시 인간의 증오, 보복, 사랑에 대한 고정관념을 교정할 수 없을 것이라는 불안 때문이 아닐까?

 Pleas for restraint and justice by other, nonviolent means such as diplomacy or an international war crimes trial are echoed by pacifist demonstrators and world leaders, including Pope John Paul II, former South African President Nelson Mandela and Cuban President Fidel Castro.

 교황 바오르 2세, 전 남아공화국 대통령 넬슨 만델라, 쿠바 대통령 피델 카스트로를 포함한 세계지도자 그리고 평화주의자들은 외교정책과 국제전쟁범죄재판과 같은 비폭력적인 방법의 자제와 정의를 탄원하고 있다.

 * plea: 탄원, restraint: 자제, justice: 정의, by other means: 다른 방법으로, nonviolent:비폭력적인, diplomacy: 외교, 외교적 수완, trial: 재판, echo: 반영하다, pacifist: 평화주의자, 부전론자(不戰論者)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