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응호 울산대 산학협력선도대학육성사업단 실장 선임연구원

최근 ‘산학협력을 통해서’ 또는 ‘산학협력을 위해서’라는 말을 심심찮게 접할 수 있다. 용어조차 생소하던 ‘산학협력’에 대한 대중적 이해도가 높아진 것은 사실인 것 같다. 사실 산학협력은 학교가 생기면서부터 행해져오던 경제사회의 방법적 주제 중 하나이다. 그런데 몇 해 전부터 정부가 산학협력의 범용적 의미를 보다 구체화하고, 협력지원을 강화하면서 널리 쓰이게 됐다.

산학협력 활성화는 우리나라에만 국한된 사안은 아니며, 이미 다양한 국가에서 정부의 지원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미국은 1980년 ‘Bayh-Dole법’을 계기로 다양한 산학협력제도들이 등장했고, 이러한 결과 1990년대 미국의 신경제가 발현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일부 선진국의 출발에 비하면 다소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비교적 짧은 기간동안 산학협력을 통한 성과는 꽤 괜찮은 편이다. 2012년 교육부에서 발간한 산학협력 백서에 의하면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던 2005년도에 비해 2010년도의 해외 특허등록은 2.7배, 기술이전 계약건수는 2.7배, 기술이전을 통해 벌어들인 수입은 4.2배나 증가했다. 더욱이 최근 정부와 산하기관들은 경쟁적으로 산학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히고 있어 전망이 밝다. 박근혜 정부의 핵심정책인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에서 산학협력이 주요한 사업으로 등장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렇게 널리 알려진 것과는 달리 산학협력이 마치 제조업과 대학의 협력관계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정부는 산학협력을 크게 ‘산업체의 수요와 미래의 산업발전에 따르는 인력의 양성’, ‘새로운 지식·기술의 창출 및 확산을 위한 연구·개발’, ‘산업체 등으로의 기술이전과 산업자문 등’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어느 경우에서도 산학협력을 제조업과 대학의 협력관계라고 특정하고 있지 않다. 그것에 쓰이는 용어가 연구·개발, 기술이전과 같이 제조업과 관계가 높아 보이는 표현들이 많은 것은 사실이다. 특히, 제조업 중심으로 발전해온 울산의 경우에는 산학협력을 제조업과 대학의 관계에서 벌어지는 협력관계로 해석하는 경향이 더 강해 보인다. 그러나 산학협력의 의미는 우리가 직관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한정적인 범위보다 대체적으로 확대해석할 수 있는 여지가 많다.

비이공계의 산학협력, 즉 공학계열뿐만 아니라 인문·사회·예술·체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산학협력을 활발히 할 수 있다. 산학협력의 범주를 떠나 지역 내에서 전문가와의 협력이라는 측면에서 보아도 제조업은 테크노파크, 생산기술연구원, 화학연구원을 포함하는 다수의 기업지원기관과 그에 속한 전문가들과 협력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어 있지만, 비제조업 분야, 즉 인문·사회·예술·체육 분야를 지원할 수 있는 전문가는 지역대학에 속해있는 전문가 자원을 제외하고는 전무하다시피하다.

때마침 정부가 산학협력을 강조하고 있는 시점에 다른 각도로 산학협력을 바라보고, 울산시와 대학 그리고 기업이 서로 협력할 과제를 발굴한다면 울산지역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서 이보다 호재가 없을 것이다. 산업도시 울산에서 민선 6기의 시작과 함께 창조문화도시 울산으로 다시 태어나기 위해서라도 대학과 기업이 선두에 서서 실사구시(實事求是)적인 산학협력에 더해 문화창조적인, 르네상스적인 분야로 시야를 확대해 나가야 할 시기이기도 하다.

김응호 울산대 산학협력선도대학육성사업단 실장 선임연구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