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스트(UNIST·국립울산과학기술대학교)가 과학기술원으로 전환될 전망이다. 빠르면 내년부터 과학기술원으로 간판을 바꿔달 수 있게 됐다. 유니스트의 오랜 숙원이 해결되는 셈이다.

유니스트 조무제 총장과 새정치민주연합이 15일 국회에서 간담회를 갖고 과기원 전환에 힘을 합치기로 했다. 유니스트의 과기원 전환은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으며 지역 여당 의원들도 오랫동안 공을 들여온 일이다. 때문에 이번에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들의 동의를 얻어냈다는 것은 절차만 남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니스트의 과기원 전환은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이라는 설립 취지를 보다 적극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는 지름길이다. 국립대학이라는 틀에 갇혀 있으면 학생선발은 물론이고 학사운영과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 지원 등에 있어서 고등교육법의 적용을 받아 교육부의 승인을 얻어야 하기 때문에 제한이 많다. 반면 과학기술원이 되면 미래창조부 산하로 옮겨간다. 교육 못지 않게 연구 기능에 초점이 맞추어진다. 자율적 운영을 통해 학생 모집과 학사운영에서 탄력성을 가질 수가 있는 것이다.

울산의 발전을 위해서도 국립대 보다는 과기원이 바람직하다. 유니스트는 그동안 과학기술분야에서 많은 기술을 개발했으나 대학이라는 한계 때문에 자회사 설립이 불가능했다. 하지만 과기원은 자회사 설립을 통해 기술의 상용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과학 분야 연구자들을 대거 울산으로 불러모으는 동기가 될 뿐 아니라 지역 기업들과 산학협력을 통한 주력산업의 고도화, 신성장 산업 발굴 등의 과제를 해결하는 계기도 될 것이다. 울산지역의 과학인재 육성에도 기여하는 것은 물론이다.

사실상 유니스트는 과기원 전환을 전제로 설립된 것이나 다름 없다. 2007년 울산과기대 설립을 위한 준비위원회가 대학의 규모와 성격을 정할 때 학부 입학정원을 1000명으로 하는 ‘강소형 과학기술대’로 했고, 2011년 7월 정부가 과기특성화대학 지원 육성안을 마련할 때 KAIST, GIST, DGIST 등 3개 과기원에 UNIST를 포함해 4개 과기대(원)를 세계적인 연구 중심 대학으로 육성하겠다고 확정한 바 있다.

이제 남은 과제는 울산시가 유니스트의 지역대학으로서의 역할을 얼마나 끌어내느냐, 유니스트는 울산시와의 동반성장에 얼마나 비중을 두느냐이다. 울산시민들이 유니스트가 세계 일류대학으로 성장하도록 마음을 모아 지원하는 한편 유니스트는 그 뿌리를 울산에 두고 있다는 사실을 잊지 않는다면 ‘상생’의 모범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유니스트의 과기원 전환이 조무제 총장을 비롯한 유니스트 관계자들의 노력 못지않게 지역민의 성원과 울산시·지역 정치인들의 적극적인 노력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유니스트가 울산 시민들의 마음 속 깊이 자긍심으로 자리 잡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