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취는 ‘누가’ 하느냐가 가장 중요한 부분
마취전문의의 특화된 전문영역
최신 기기·전담 의료진 갖춰져

▲ 동강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가 수술 전 환자의 마취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당신이 잠든 사이에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가 곁을 지켜드려요.”

최첨단 의료기기와 수술실 마다 배치되는 전담 마취과소속 간호사, 풍부한 임상경험을 가진 마취전문의들이 포진돼 있는 동강병원 마취통증의학과를 찾았다.

마취는 환자가 평온한 수면 상태에서 통증 없이 수술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의료행위를 말한다. 외과적 수술·시술이 마무리될 때까지 환자를 깊은 수면에 빠진 듯한 상태로 유지시키면서 통증이나 수술에 대한 나쁜 기억은 없애주는 것이다.

마취라는 의료행위 자체로 환자의 질병을 치료하진 못한다. 하지만 마취는 축구경기에서 골문을 지키는 골키퍼와 같이 각종 수술·시술 과정에 없어서는 안될 존재이다.

여기서 ‘누가 마취를 하느냐’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또 마취는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들의 특화된 전문영역이라 할 수 있다. 

▲ 동강병원 마취통증의학과 의료진.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는 수술실의 파일럿과 같은 역할을 한다. 수술 전 환자를 마취하고 (비행기 이륙), 수술 중 환자의 호흡, 맥박, 혈압, 체온과 같은 생체 징후(vital sign)를 유지시키고 (안전한 항로 운항), 수술 후 환자가 의식을 회복하는 과정(목적지 착륙)을 전담하여 외과의를 비롯한 스텝들이 온전히 수술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때문이다.

마취법은 의식과 감각을 담당하는 ‘뇌’를 재우는지, 깨워 놓은 상태로 두는지에 따라 전신마취와 부위마취로 구분한다. 전신마취는 고통스러운 수술 중 각성을 막고, 통증 등 불쾌한 감각을 없앤다. 또 근육까지도 잠들게 해 수술 중 자극에 대한 반사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환자는 마취 중 몸속 장기들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고통을 기억하지 못하게 된다.

반면 부위마취는 신체의 일부만 마취하는 것을 말하며 척추마취, 경막 외 마취, 상완 신경총 차단 등의 방법들이 있다.

이와 함께 수면마취도 있다. 내시경 등 가벼운 시술을 할 때 통증이나 불쾌한 기억을 없애기 위해 수면제나 진정제를 투여하는 방법이다. 시술의 자극정도와 환자 상태에 따라 약물의 종류, 용량, 마취 방법이 달라지므로 이 역시도 마취통증의학과의 활동영역이 된다.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들은 수술·시술 관련 마취뿐만 아니라 중환자실에서도 환자를 보살핀다.

중환자실은 회복 가능성이 있는 위중한 환자들을 모아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를 비롯한 내·외과 전문의들이 소중한 생명을 살리기 위해 힘을 모아 강력한 집중치료를 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동강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관계자는 “최근 중환자실, 장기 이식 등 보다 나은 의술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 마취통증의학과의 역할이 더욱 커지고 있다”면서 “특히 통증클리닉은 질병에 대한 ‘부수적인 증상으로서의 통증’이 아니라 ‘통제 불능의 난치성·만성 통증 자체가 질병’이라는 개념의 도입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의료분야”라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