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공격적 시정 이면 들여다보면
울산을 생산기지로 여기지 않나 의심
울산만의 비전 제시 어깨 나란히 해야

▲ 서찬수 사회부장

민선 6기를 맞은 울·부·경 3개 광역시도 가운데 부산의 역동성이 무섭다. 경남이 통합창원시와 불협화음을 내고 있고, 울산은 움츠려 있는 반면 부산이 무섭게 치고 나가는 모양새다. 부산은 민선 6기가 1년이 지난 시점부터 굵직굵직한 미래비전과 사업들을 위한 보폭을 넓히고 있다.

특히 서병수 부산시장의 공약사업인 2028 하계 올림픽 유치에서는 더욱 적극적이다. 부산은 성공적 유치를 위해 경남과 울산을 몰아붙이는 형국까지 보인다. 지난 3일 부산발로 ‘2028 부·울·경’ 하계 올림픽 유치 다시 불 지핀다’란 제목의 기사가 보도됐다. 내용인즉 이날 오후 3시 하계올림픽 부산 유치를 위해 부산과 울산시가 첫 공식 실무협의회를 개최하고 협력을 선언했다는 것이다. 또 불참을 선언한 경남도의 동참을 촉구하고 경남도가 언제든 참여할 수 있도록 공동기획단의 문을 열어놓기로 했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울산은 이와 관련해 사실이 아니다며 손사래를 쳤다. 자체 논의도 제대로 되지 않은 상황에서 첫 공식 실무협의회는 어불성설이라는 뜻이다. 울산시의 입장이 사실이라면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부산시의 공격성이 엿보이는 부분이다.

부산시는 지난해 민선 6기 출범 당시 ‘2030 하계 올림픽 유치’를 선언했다. 그리고 2015~2016년 올림픽 유치 분위기 조성, 2016년 올림픽 유치 기본계획(타당성 조사 포함) 수립 용역, 2017~2019년 국내 승인절차 이행, 2019~2021년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승인절차 이행(2021년 9월 IOC 개최도시 승인) 등 로드맵을 내놓았다. 또 지난달 31일 ‘글로벌 부산으로의 도약’을 슬로건으로 내건 ‘2030 부산 등록 엑스포(World Expo) 유치’를 위해 범시민추진위를 공식 출범시켰다. 올림픽, 월드컵과 함께 3대 축전으로 불리는 BIE 승인 엑스포를 2030년에 부산에서 연다는 게 목표다.

부산시는 이와함께 지난달 21일에는 미래먹거리로 고부가가치 드론(drone·무인항공기)산업으로 정하고 53억 달러에 달하는 세계 드론시장에 도전장을 던졌다. 내년부터 ‘부산 국제 드론 전시회’와 ‘국제 드론 레이싱 대회’, ‘드론 활용 인명구조 경진대회’ 등을 개최하기로 했다. 그리고 신산업 창출과 시장 선점을 지원할 ‘드론 실용화·촉진 지원센터’도 내년에 설립한다는 방침이다. 민선 6기 1년을 넘기면서 국가적으로 치러야 할 대규모 국제행사를 잇달아 제시하고 있는 셈이다.

사실 부산은 정부의 행정구역 개편 때 마다 인접지역을 편입해 영토를 넓혀온 것을 감안하면 그 공격성(?)은 일찌감치 인정받아 왔이다. 400만 부산에서 350만 부산으로 다소 쇠퇴한 듯 보이지만 이는 단순 숫자놀음에 지나지 않는다. 인접지 도시를 위성도시화해 사실상 부산의 생활권역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을 볼때 부산이 울산과 경남을 광역 생활권역으로 여기지나 않는지 의심스럽다. 부산을 중심으로 울산과 경남이 생산기지로만 혹은 대정부 대응에 있어 우군으로서의 역할만 강요당하는 듯한 느낌도 지울 수 없다. 부산만이 강조하는 ‘동남권’이란 용어는 더욱 그렇다.

울산이 진정한 울·부·경 또는 부·울·경 3개 시도에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울산만의 비전을 제시하고 그에 걸맞는 사업과 행사가 추진돼야 한다. 그래야만 선점의 효과와 함께 진정한 동반자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울산과 부산은 나란히 민선 6기에서 미래를 이끌 선장을 교체했다. ‘품격있고 따뜻한 창조도시 울산’이 다시 한 번 대한민국호를 견인할 미래비전을 제시할 때다.

서찬수 사회부장 sgija@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