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형욱 사회문화팀 차장

울산시민들은 이번 주부터 최소 한달 간은 울산에 건립되는 국립산업기술박물관이 어떻게, 어떤 규모로 건립될 지 여부에 깊은 관심을 기울여야할 듯하다. 국립산업기술박물관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시설로 건립될 수 있을지 여부가 판가름나기 때문이다.

국립산업기술박물관의 울산 건립이 확정된지 만 2년이 지났지만 규모나 시기 등 어느 것 하나 결정된 것이 없는게 현실이다.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공약이란 든든한 후광(?)이 있지만 국립산업기술박물관을 둘러싼 논란들을 되새기다보면 불안감을 떨쳐내기 힘들다.

애초 정부의 구상은 세계 최대 규모의 산업기술박물관을 짓겠다는 것이었다. 대한민국 산업발전 60년사를 반추하는 기념비적 시설로 만들어 산업기술 유물을 체계적으로 보존, 전시하면서 자라나는 세대들에게 첨단 과학기술 교육·체험의 장이 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건립하겠다는 구상이었다. 건축비만 4500억원 규모에 부지매입과 전시품 구입 등 모두 1조2000억원을 투입하는 계획이 검토된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

하지만 입지가 울산으로 결정되면서 사업비가 과도하다거나 사업타당성이 떨어진다는 부정적 의견이 표출되기 시작했다. 서울은커녕 수도권도 아닌 변방인 동남권의 울산이란 도시에 건립하려니 관람객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는 선입견이 작용하고 있는 듯하다. 정부도 당초의 야심찬 계획에서 조금씩 물러서더니 규모를 축소해야 한다는 얘기마저 새어나왔다. 운영비도 일정 부분 울산시가 분담해야 한다는 의도도 숨기지 않았다. 이 과정에서 건축연면적 8만476㎡에, 총 사업비 4393억원으로 축소돼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이 이뤄진 상태다.

한국개발연구원이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를 위해 경제성 등에 치중할 경우 사업 규모가 더욱 축소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없다. 울산시가 내년 국가예산 배정을 신청한 설계비(173억원)도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는 이유로 제외된 상황이어서 울산시민들이 정부의 의지마저 의심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해 보인다.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여부도 현재로선 장담하기 힘들어 보인다. 예비타당성조사가 필요성과 경제성, 재원조달 방법 등의 사업성을 판단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국립산업기술박물관 건립을 단순한 사업성 논리에 매몰돼 타당성 여부를 판가름하는 것은 숲은 보지 않고 나무만 보는 우(愚)를 범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있다. 산업기술박물관은 명실공히 대한민국 산업기술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한 자리에 담아내는 메카로 건립돼야 한다는데 정부도 이미 동의한 상황이다.

국립산업기술박물관은 울산은 물론 대한민국의 미래 발전을 한단계 더 끌어올리고, 전 세계의 부러움을 받고 있는 불굴의 성장사를 이끈 대한민국의 자부심이 짙게 배어있는 명소로 지어져야 한다. 울산시민 모두가 이를 지켜내야 한다. 아니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환경오염과 노동문제 등 최악의 상황을 감내하며 대한민국 산업부국 역사의 밑거름이 되어준 울산의 노고에 늦게나마 힘을 실어줘야 한다. 산업수도 울산에 건립되어야 할 산업기술박물관은 대한민국 부국의 역사의 자부심이자 미래 산업·경제부국의 역사를 새로이 써 나가는 첫 걸음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신형욱 사회문화팀 차장 shin@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