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과 상생할 수 있는 길 찾아야
휴양림 이용 확대를 위한 방안

▲ 윤석 울산생명의숲 사무국장

신불산폭포휴양림은 전국 39개 휴양림 가운데서도 경치가 뛰어나 수익률이 높다. 그런데 10여전부터 사유지 문제로 운영에 계속 발목을 잡히고 있다. 하단 진입도로 개설문제로 10여년동안 차량통행을 못하는 불편을 겪었다. 하단휴양림이 해결되자 지난 2013년 상단휴양림 입구 진입로 부지 산주들이 휴양림 출입로 사용동의가 없었다고 해 길을 폐쇄했다. 한동안 휴양림운영 차질을 빚다가 발상의 전환을 했다.

2014년부터 전국에서 유일하게 걸어가는 휴양림으로 이용방법을 바꿨다. 자동차의 편리함을 버리고 먹을 것도 간소하게 준비하는 휴양문화를 만들고자 했다. 2015년에는 짐 운반 서비스를 추가했다. 이용률이 20%대에서 40%대 이상 올랐고 만족도도 높고 쓰레기 발생도 급격하게 줄었다고 한다. 마니아층도 일부 생겨나고 있다고 전해진다. 산림복지나 휴양문화선도에는 걸어가는 휴양림이 성공할 조짐이 보이기는 하나 매출평가에 있어서는 관리부서에서는 늘 불안하기 짝이 없다. 민원해결을 위한 법적 검토 및 사유지 매수 등을 고려했으나 해결방법을 찾지 못했다. 이용률 40%대에서 80%대로 올려서 매출 1억에서 2억원으로 만들어야 하는 절박함 속에서 생각해 낸 것이 ‘모노레일’ 도입이다.

친환경 시스템(배터리 충전 전동식)으로 지형훼손을 최소화하는 방식을 찾아냈다. 도입하면 이용객이 늘 것이라고 내부적으로 오랜 시간 검토하고 기존 시설된 곳도 찾아가 봤다고 한다. 그런데 주민들이 궁금해 하는 법적 보호동식물이나 지형, 지질, 경사도 등에 대한 타당성 조사는 이뤄지지 않았다. 물론 경제성 분석도 아직 못했다. 편도 5000원, 왕복 1만원으로 통상적인 요금이라고 했다. 일반시민들은 비싸다는 반응이다. 이용객이 어느 정도 될지도 가늠하지 못했다. 모노레일이용객이나 휴양림 투숙객이 지역경제와 어떤 연관성이 있는가에 대한 주민들의 물음에 그냥 좋아질 것이라는 답변밖에 못 하는 상황이다. 고민하고 문제해결의 답을 찾고자 내부적 노력은 충분히 이해된다. 하지만 내 문제를 내가 해결하기보다 3자에 의한 답을 다시 구하는 절차가 필요해 보인다.

이에 반해 주민들은 진입로 사용을 반대하는 산주들을 설득해 마을기업을 만들고 간월재와 상단휴양림으로 이어지는 10여㎞에 이르는 임도로 버스(전기자동차)를 운행하면 어떻겠냐고 제안했다. “전국 유일 걸어가는 휴양림으로 자리잡아가는 데, 매출 좀 더 올리겠다고 모노레일이라니요. 국가가 돈 벌기위해 휴양림을 운영하는 것은 아니지 않나요?” 신불산폭포하단휴양림에서 상단휴양림으로 편도 1.9㎞, 왕복 3.8㎞규모의 모노레일을 설치할 계획이라는 주민설명회에서 나온 이야기다.

주민들은 모노레일 대신 주민들이 기존 임도를 활용한 버스(전기자동차) 운영을 제안했다. 주민 소득 증대와 휴양림 이용객 편의도 가능하다고 했다. 산림청 소유 임도 사용협조가 필요하다고 했다. 편도운행이고 저속이라 안전하다고 했다. 휴양림 이용객을 실어 나르는 자동차는 입실과 퇴실에 맞춰 집중적으로 배치하고 특별히 이용객이 많은 시간에는 쉬는 차량을 운행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국가예산을 들이지 않고 걸어가는 휴양림으로서 명분도 잃지 않고 투숙객 편의도 배려하게 된다.

주민들은 휴양림의 투숙객이 많으면 반대로 주민이 운영하는 펜션이나 식당매출이 떨어진다고 하지만 자동차를 운행하게 되면 휴양림 투숙객이 늘어나 수익이 더 생기게 된다. 국가와 지역이 함께 사는 길이다. 간월재까지 운행하게 되면 산악관광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가야산이나 설악산 등지에서 전기자동차를 이용한 사례들도 있다.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 주민들이 함께 잘 살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는 일이 필요하다. 휴양림관리단에서는 산림복지와 휴양문화를 정착시키면서 지역경제와 관광도 고려한 종합적인 판단을 새롭게 할 필요가 있다. 주민과 산림청이 함께 상생하는 길을 찾아야 한다.

윤석 울산생명의숲 사무국장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