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낙동강 하굿둑 수문 개방을 추진하고 있다. 2017년부터 점진적으로 개방해 2025년까지 완전개방한다는 계획이다. 낙동강 하구의 생태계 복원과 시민 식수원 수질 개선이 목적이다. 하굿둑으로 인해 유속이 느려져 하류지역의 호소화가 가속되면서 강으로서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강바닥은 무산소 상태가 지속돼 물고기의 폐사가 잇따르고 있다고 한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지난해 9월 기자회견을 열어 “낙동강 하굿둑을 둘러싸고 30년간 계속된 소모적인 논쟁을 끝내야 한다”면서 “그 중심에는 낙동강을 끼고 사는 부산시민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하굿둑을 개방해서 낙동강의 생태계가 복원된다면 그 당위성에 이의를 제기할 수는 없다. 하지만 낙동강 하굿둑 개방으로 인해 울산과 김해 양산 밀양 등의 피해가 불을 보듯 뻔한데 ‘그 중심에 부산시민이 있어야 한다’는 생각은 대단히 위험하다. 낙동강은 강원도 태백시 황지연못에서 발원해 경북, 경남, 부산으로 흐르는 긴 강이다. 흔히들 ‘700리’라고 하지만 전체길이가 525㎞로 1300리에 이른다고도 한다. 울산은 낙동강 지류에 있지 않지만 낙동강 물을 식수로 사용하는 도시로서 낙동강의 수질에 지대한 관심을 쏟지 않을 수 없다. 낙동강은 부산의 강이 아니다. 수많은 지자체 주민들의 생명줄이다.

부산시는 하굿둑 개방에 따른 피해대책을 다양하게 마련하고 있다지만 염분 피해가 예상된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 국토교통부와 농축수산식품부가 취수원 확보와 염분 피해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인근 지자체의 동의가 전제돼야 하굿둑 개방 논의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울산은 낙동강 하굿둑이 완전 개방되면 낙동강 하구언에서 27㎞ 지점에 있는 원동취수장에서 공급받는 용수의 염분 농도 상승에 따른 처리비용 부담은 물론이고 식수원 사용이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고 예상하고 있다. 때문에 피해가 없는 하구언으로부터 10㎞ 이내(부산시 구간)에서만 개방을 시행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울산시는 식수 가운데 평균 17% 가량을 낙동강물을 사용하고 있다. 또 한국수자원공사 울산권관리단은 원동취수장을 통해 하루 90만~100만t 가량의 공업용수를 취수해 지역 기업체에 공급하고 있다. 울산 뿐 아니라 경남 삼랑진까지 인근 지자체의 취수구가 11개나 있어 1일 470만t이 낙동강에서 취수되고 있다. 울산을 비롯한 이들 지역에 대한 맑은 물 대책 없이 하굿둑 개방을 추진해서는 안 되는 이유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