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효율 설비 활용 가이드 제공
에너지 자급자족 친환경 건축물
외부원고는 본보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김동수 한국에너지공단 부산울산지역본부장

지난해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엔 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1)에서 채택된 ‘파리기후협약’이 지난 11월4일 공식 발효됐다. 1997년 체결된 교토협약이 발효까지 8년이 걸린 것을 생각하면 채택된 지 채 1년이 안되어 발효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세계가 기후변화의 심각성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공감하고 한마음으로 신(新)기후체제를 맞이하는 것이다.

신기후체제 출범을 기회로 삼아 한국도 에너지신산업 등 신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해야 할 시점이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건물은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분야 중 하나로 한국도 전체 에너지 사용량의 21% 이상을 건물이 차지하고 있다. 미국, 중국, 독일 등의 건물 에너지 분야 투자액은 2014년 90조원 수준에서 2020년 125조원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유럽연합(EU)은 2020년까지 모든 신축 건물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및 에너지 사용을 제로(zero)로 의무화하는 계획을 마련했고, 일본은 2030년까지 모든 신축 건물을 제로에너지빌딩으로 건축하도록 의무화하는 계획을 내놓았다.

우리 정부도 2014년 12월에 발표된 ‘제1차 녹색건축물 기본계획’에 따라 2020년까지 공공건물 제로에너지빌딩 의무화, 2025년까지 민간건물 의무화 계획을 수립한 뒤 추진하고 있다.

제로에너지빌딩이란 태양광, 지열 등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여 필요한 에너지를 자체적으로 공급하고, 고효율 설비 활용, 단열성능 극대화 등을 통해 건물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 친환경 자급자족형 건축물을 말한다. 제로에너지빌딩은 에너지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기존 건축물 대비 온실가스를 70% 이상 줄일 수 있어서 신기후체제에서의 주요한 온실가스 감축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제로에너지빌딩 구현과 관련해 중장기적 로드맵은 수립한 상태이나, 세부적으로 보급 확대를 위한 정책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현재 건축되고 있는 건축자재와 건축설비의 에너지성능 수준, 단위면적당 건축비 산정 등의 기초 통계자료 확보가 중요하다.

또 시장에서 제로에너지빌딩을 자연스럽게 수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건축물별 최적화 모델 발굴, 건축자재 및 설비 등 설계요소에 대한 경제성 분석 자료 제시와 같은 정부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한국에너지공단은 한국감정원과 협력을 통해 정부3.0 기반의 건축물 에너지절약설계 통계시스템을 구축하고, 약 5만여건의 건축물의 건축, 전기, 기계, 신재생 부문에 대한 설계 요소 통계를 활용해 7월부터 시범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으며, 12월 정식 서비스를 준비 중이다.

공단은 건축물 에너지절약설계 통계시스템을 통해 신재생 및 고효율 설비의 활용가이드를 제공해 해당 설비의 채택을 유도할 예정이다. 저에너지 건축 설계를 위해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설비에 대한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제공한다면 고효율 설비의 채택률 제고는 물론 전문성이 부족한 설계사의 업무 부담까지 경감시킬 수 있다.

제로에너지빌딩은 지속 가능한 녹색 건축물’로 미래 건축물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다. 에너지비용을 줄일 뿐만 아니라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효과까지 있어 에너지 문제와 기후변화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신기후체제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역사적 흐름에 발맞춰 ‘정부3.0 건축물 에너지절약설계 통계시스템’이 제로에너지빌딩 전성기를 이룩하는 밑거름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김동수 한국에너지공단 부산울산지역본부장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