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갑성 사회부 양산본부장

경남 양산지역의 한 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한 이후 양계 농장마다 매일 쌓여가는 계분이 현안문제로 부각했다. 양산시와 양계농가들은 AI 확산을 막기 위해 총력전이 전개되고 있는 상황에서 반출되지 못하는 계분 처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양산지역 양계농가들은 매일 축사 소독에 초주검이 되는 상황에서 쌓여가는 계분 처리까지 겹치자 극심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농가마다 매일 적게는 수백㎏에서 많게는 수t씩 계분이 발생하고 있지만 반출금지에 묶여 쌓아놓고 있다.

AI 발생 전에는 축사 주변에서 일정 기간 말린 뒤 수거업체 등에 판매하거나 무상으로 나눠줬지만 현재는 반출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농가마다 계분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10여일 정도 공간에 불과하지만 한 달이 넘도록 계분 처리를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루하루가 곤욕이다.

AI가 발생하면 최소 1개월 이상 계분 반출이 금지되면서 보관대란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실제로 양산은 지난달 12일 이후 계분 반출이 금지된 데다 기약없이 이 조치가 계속될 예정이어서 농가마다 보관장 확보에 고심하는 비상이 걸린 상태다. 계분이 제때 처리되지 못하면 축사 외부에 방치할 수밖에 없어 방역 당국도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재래식 계분사다. 양산지역 상·하북면의 전체 18개 산란계 농가 중 3분의 1정도가 재래식 계분사를 갖고 있다. 재래식 계분사에서는 계분이 젖은 상태로 보관되는 바람에 계분 물기가 하천 등으로 유입, AI 추가 발생 등 감염 확산을 부를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성이 크다.

시는 양계농가들의 계분 처리를 위해 대책을 마련 중에 있지만 AI 확산 우려로 뾰족한 해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앞서 지난해 11월 전남 해남 농가에서 AI가 발생한 이후 지역 양계농가들의 계분 반출을 금지했다. 그러나 양계농가들이 계분 처리에 어려움을 호소하자 지난해 10~12일 3일간 시 통제 하에 계분을 반출했었다. 시는 같은 달 24·25일 계분 반출을 추가로 허용할 예정이었지만 지역에서 AI가 발생하자 취소했다.

양계농가들은 달걀 출하가 허용되면서 경제적인 어려움은 어느 정도 해결됐지만 매일 계분이 쌓이면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며 대책을 호소하고 있다. 이들은 AI 원인이 정확히 규명되지 않은 상황에서 중간수집상의 방문을 막는 것도 AI 확산을 막는 한 방법이 되겠지만 확산 방지를 위해 그동안 민원 때문에 무산된 계분 공동처리장 확보도 시급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AI 발생 농가 반경 500m~3㎞ 지역 31농가에는 100여만 마리(산란계 16농가 74만5100마리)의 가금류가 사육 중이다. AI가 확산, 살처분 방역대가 3㎞까지 확대되면 산란계의 82%가 사라져 양계 기반시설 붕괴가 불가피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공동 계분처리장 조성이 시급하다. 악취 등 민원도 중요하지만 산란계 기반 붕괴를 막을 수 있는 대안이라는 점에서 추진돼야 한다. 이제 이중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는 농가들의 하소연에 무게중심이 실려야 한다. 이는 곧 AI 확산 차단과 양계농 기반 붕괴를 막는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김갑성 사회부 양산본부장 gskim@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