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사고시 컨트롤타워...주민대피·방재작업 지시
울산은 부산권역서 관할...신속한 대응·수습 어려워

 

원전 밀집지대인 울산에 방사능 재난시 신속한 사고 수습과 주민보호조치 등을 지휘할 ‘방사능방재지휘센터’ 건립이 조속히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높다. 울산은 경주지진의 여파로 원전안전에 대한 우려가 크지만 원전소재지 가운데 유일하게 지휘센터가 없어 재난 대처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울산시도 원자력안전위원회에 공식적으로 건의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

15일 울산시에 따르면 방사능방재지휘센터(이하·방재지휘센터)는 방사선사고 및 방사능재난 발생시 신속한 주민대피와 방재작업을 지시하는 이른바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한다. 원자력 안전을 독립적으로 담당하는 정부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가 설치하고, 산하기관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운영한다.

 

방재지휘센터는 방사선 방호·방재장비 및 제염장비는 물론 ‘국가원자력재난관리시스템(AtomCARE)’과 연계한 원전 운전상황 정보수집 설비, 비상통신 설비 등 첨단시스템을 완비하고 있다. 평상시에는 방사능 재난에 대비한 대응 태세를 갖추고 비상대응능력 강화, 방사능 방재 및 물리적 방호체제 점검, 방사능 방재 훈련 및 교육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비상시에는 방사선비상대책본부로서 현장지휘와 기능별 실무반, 연합정보센터, 합동방재대책협의회 등을 운영한다.

센터는 또 원자력사업자, 원자력전문기관, 지자체 등 방사능 방재 유관기관간 긴밀한 협조체계가 구축돼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효과적인 대응을 기대할 수 있다. 고리 1·2·3·4호기와 신고리 1·2호기 등 총 6기 원전이 있는 부산권에는 2010년 원안위가 39억원을 투입해 기장군 철마면에 2층 건물(연면적 1025㎡)에 고리방사능방재지휘센터를 세웠다. 앞서 2008년 울진, 2007년 영광, 2005년 월성 등 원전소재지에 차례로 방재지휘센터를 조성했다. 원안위는 한국원자력연구원 내 ‘하나로 원자로’의 사고를 대비해 2009년 대전시에도 설립했다.

원전소재지로 울주군에만 유일하게 센터가 미설치 돼 있다. 새울1·2·3·4호기(신고리 3·4·5·6호기) 등 4기의 원전이 가동하거나 가동을 앞두고 있지만 현재 고리방재지휘센터가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그러나 울산지역 원전과 20㎞ 가까이 떨어져 있는 고리방재지휘센터의 위치적 조건 때문에 사고 발생시 현장에서 신속한 수습과 대응력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최근 울산지역의 원전을 관리하기 위해 출범한 ‘새울원전본부’와 울산시가지를 잇는 중심지역에 센터를 신설해야 한다는 지역사회의 요구가 높다.

이에 따라 울산시도 울주방재센터 설치를 정부에 공식적으로 요구하고 나섰다. 시는 최근 원안위에 새울원자력본부와 연계된 방사능방제센터의 조속한 설치를 요구하는 공문을 보냈고, 현재 답변을 기다리고 있다.

최창환기자 cchoi@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