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왕수 사회부 기자

돌고래 사육을 둔 찬반 논란이 다시 점화됐다. 울산 남구청이 돌고래를 일본에서 추가로 들여오겠다고 발표하면서부터다.

남구청은 고래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불가피한 결정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반면 동물보호·환경단체는 행정기관이 세금을 투입해 돌고래를 학대한다고 비판하고 있다. 지난 2009년 고래체험관이 처음 지어졌을 때부터 지금까지 반복되고 있는 논란이다.

우선 남구청은 비밀 작전을 수행하듯 지난 4개월간 쉬쉬하며 돌고래 수입·수출 절차를 밟았다. ‘돌고래 구입계획이 정해지지 않았다’는 거짓말도 서슴지 않았다. 추진 단계에서 공론화될 경우 환경단체 등의 반발로 인해 계획 자체가 틀어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였다. 하지만 행정기관이라면 무조건 숨길게 아니라 반대단체를 설득하든지 아니면 주민 공감대를 이끌어내든지 하는게 바람직한 모습이 아닐까.

동물보호·환경단체의 반발도 조금은 아쉽다. 잔인하게 포획되는 일본 돌고래를 추가로 수입할게 아니라 지금 있는 돌고래를 야생으로 돌려보자고 하면서도 어머어마한 예산을 들여 지은 수족관의 향후 활용방안에 대해선 마땅한 아이디어를 내놓지 못했다.

이들의 주장대로 전세계적으로 돌고래쇼를 폐지하는 추세라면 조금만 조사를 해봐도 수족관 폐관 이후 활용방안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 그렇다면 주민들도 오히려 폐관에 힘을 실어줄텐데.

현재 장생포 수족관에 있는 돌고래 3마리 중 2마리의 나이가 16세, 15세다. 돌고래의 수명이 약 20세 안팎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수 년 내 돌고래 사육을 둔 찬반 논란이 재현될 가능성이 있다.

전세계적으로 구조되고 있는 돌고래 중 야생으로 돌아갈 수 없는 상처를 입은 돌고래만을 모아 운영하는 수족관이나, 살아있는 고래는 없지만 가상(VR) 또는 증강(AR)현실을 구현한 고래 수족관 등이 대안이 될 수 있다. 미래에 닥칠 찬반 논란에 대비해 지금부터라도 고래수족관에 대한 장기적 해법을 고민하는 것은 어떨까.

이왕수 사회부 wslee@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