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신용평가회사인 무디스가 우리나라 국가 신용등급을 두 단계나 상향조정한 것은 매우 반가운 일이다. 특히 공업도시 울산의 경우 국가신용등급의 상향조정은 바로 경기회복으로 직결 될 것으로 예상돼 많은 기대를 갖게 한다. 그동안 울산시는 경기회복을 위해 세계 각국을 상대로 울산공단에 경쟁력 있는 외국계 기업들을 유치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지만 외국인들은 선뜻 투자를 망서려 왔다. 그러나 이번 상향 조정된 신용등급으로 외국인들의 관심이 울산공단으로 쏠리면서 월드컵 특수와 함께 경기도 빠르게 회복될 것으로 시민들은 기대하고 있다.

 국가신용등급의 상향조정이 이렇듯 당장 눈에 띄는 실익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지만 또한 그로 인한 후유증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재정경제부 관계자들은 불과 2년4개월만에 신용등급을 두 단계나 올린 것을 자랑하지만 반드시 그렇지만 않을 것이라는 우려다. 대량 감원사태와 기업 퇴출 및 해외 매각이 지금도 계속되고 있으며 실업자가 100만명을 넘어 거리에 노숙자가 넘쳐날 정도의 위기를 거치기도 했다. 그런 희생을 치르면서 외채를 줄이고 외환을 넉넉할 정도로 쌓아둔 점이 무디스의 중요한 평가대상이 됐을 것이다. 그러나 숱한 희생을 바탕으로 순식간에 이룬 이런 외형상의 성과가 과연 내부적으로도 탄탄해 지속성을 갖고 있을 것인가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귀담아 들어야 할 대목이다.

 퇴출대상 기업은 여전히 하나 둘이 아니고 빚 많은 대기업을 해외에 매각하는 문제는 헐값 매각 시비에 휘말리며 주춤하고 있다. 금융 부실을 치유하기 위해 천문학적 규모의 공적자금이 투입됐는데도 공적자금 수요는 여전히 쌓여있고 거기에 경기부양용 재정지출까지 만만치 않아 2003년 균형재정 목표 달성은 물건너 갔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짧은 기간에 신용을 회복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쌓인 이같은 문제들을 안은채 어떻게 신용등급을 외환위기 이전상태로 완전 복구시킬 수 있을 것인가. 해답은 내실화밖에 없다. 금융, 기업의 내실화와 수출구조의 개편에 정책의 최우선순위를 둬야 할 때다. 수출시장 다변화와 수출품목의 다원화를 더이상 장기과제로 미뤄둬서는 안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