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시·구비 12억여원 투입...제전·우가 2곳에 분산 조성

▲ 울산시 북구 제전항에 조성된 뒤 방치된 투명카약 계류대 등 해양레저 체험시설.

국·시·구비 12억여원 투입
제전·우가 2곳에 분산 조성
반쪽 체험마을 관광객 외면
제전어촌계, 지정취소 요청
면밀한 사전 검토없이 강행
시설비 등 주민혈세만 낭비

해안경관을 활용한 해양체험활동으로 지역 관광 활성화와 고령화된 어촌마을에 새로운 경제소득을 안겨다 줄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울산 북구 제전어촌해양레저체험마을이 개장 2년만에 문을 닫게 됐다. 지자체의 면밀한 사전 검토없이 강행된 사업으로 수억원의 주민혈세만 낭비했다는 지적을 면키 어렵게 됐다.

울산 북구청은 지난 2015년 7월께 북구 강동동 제전항과 우가항에 두 곳에 국·시·구비 12억3000만원을 투입해 해양레저체험마을을 조성했다.

도시 활력증진사업으로 추진된 해양레저체험마을은 사업 추진 초기 천혜의 해안경관을 앞세워 머무르고 체험하는 관광자원으로써 고령화된 어촌 주민들의 신 수익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개장 2년만에 제전어촌체험마을이 문을 닫게 됐다.

23일 북구청에 따르면 최근 제전해양레저체험마을을 운영하던 제전어촌계에서 어촌체험마을 지정을 취소해달라는 요청서를 북구청에 제출했다.

사실상 어촌체험마을이 미운영 상태이고 투자 대비 낮은 수익성, 운영인력과 운영비 부족 등으로 어촌계 주민 70% 이상(제전 어촌계 57명 중 42명 반대)이 운영 취소를 원했기 때문이다. 해수부 어촌체험마을 운영실태 현장점검결과에 따라 관리에서도 제외된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초기부터 북구청이 해양레저체험마을을 한 곳에 집중투자하지 못하고, 두 곳의 마을에 분산 조성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컸었다.

해양체험활동에 따른 지역 관광산업의 활성화로 새로운 경제소득원이 될 것으로 기대한 마을들의 요구와 반발을 우려한 행정이었다.

한정된 예산으로 분산해 체험마을을 조성하다보니 안내센터 겸 숙박시설 등 계절에 상관없이 체류형관광을 가능하게 할 편의시설들을 갖추지 못해 사실상 여름 한철 장사만 해야하는 반쪽 체험마을로 전락할 수밖에 없었다.

여기에 두 마을에 유사한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되면서 차별성도 떨어졌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제전어촌체험마을은 개장 후 지금껏 2015년 한해만 운영을 해 수입이 1000여만원에 그친 반면 인건비 등으로 1400만원을 지출해 400여만원의 적자를 냈다.

5억원을 들여 실시한 설계와 시설 설치비, 기구 구입비 등을 합하면 수억원의 주민혈세가 2년간 줄줄 새 나간 것이다.

북구청은 우선 계류장과 체험장비 등을 우가 어촌체험마을로 관리전환하고, 화장실과 안내실 등은 환경위생과가 관리하는 것으로 조치할 계획이다.

북구청 관계자는 “어촌체험마을 안내 입간판을 철거하고, 홈페이지 폐쇄 등 관리제외에 따른 후속조치를 이행하고, 추후 해수부에 결과물을 제출할 계획이다”며 “남은 우가해양레저체험마을의 활성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준호기자 kjh1007@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