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미사일을 보유한 北과 마주한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 현실 직시
철저한 대비 등 경계 늦춰선 안돼

▲ 이기원 전 울산시 기획관리실장

인터넷에 이런 유머가 있다. “학생:선생님, 역사는 왜 배워요? 교사:(꿀밤을 주면서) 배워야지! 학생:아! 왜 때려요? 교사:(꿀밤을 주려는데 학생 피함) 어쭈, 이것 봐라. 피했네. 학생:아, 왜 자꾸 때려요? 역사는 왜 배우냐니까요? 교사:니가 나한테 맞았던 걸 기억하지 못했다면 두 번째 때렸을 때 피할 수 있었을까?” 이 유머를 보고 과연 한 번 웃기만 하고 넘어가야 할 것인가?

며칠 있으면 6·25가 발발한 지 67주년이 된다. 우리 역사상 많은 아픈 상처를 가지고 있지만 ‘6·25’만큼 나라의 운명이 위태로운 적이 있었던가? 미군(179만명)이 주축(92%)이 된 UN연합군(195만명)의 지원이 없었다면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오늘 날의 대한민국은 없을 것이며 이른 바 ‘베이비 부머’이후의 세대들은 이 땅에 태어날 수 없었을 것이다. 세계적인 역사학자 E.H. Carr는 “역사란 과거와 현재의 끊임 없는 대화”라고 했다. 현재에는 과거가 녹아있고 미래는 현재를 반영한다. “역사를 제대로 알아야 하며 역사를 잊은 민족에겐 미래가 없다”고도 했다. 그런데, 우리의 실상은 과연 어떤가?

2015년 6월, 한국갤럽의 6·25관련 국민인식조사(19세이상 성인1000명)에서 6·25 발발연도(1950년)를 아는 비율은 64%(20대는 53%)에 불과했으며, 발발주체에 대해 87%만 북한이라고 답했다. 특히 1%는 남한, 6%는 남북한 모두라고 했으며, 특정권역에서는 4%가 남한이라고 답했다는 놀라운 결과가 나왔다. 왜 이런 현상이 생겼을까? 바로 역사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국민들에게 그 날을 상기시키려는 노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6·25를 맞으면서 잠시 생각해 본다.

먼저, 6·25전쟁 같은 역사는 교육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어느 초등학교 교과서를 조사한 결과 6학년 사회과목에서만 직접적으로 다뤘고 4학년 도덕과 6학년 도덕에서 평화통일을 다루면서 간단히 언급한 수준이었다. 그리고 정부와 자치단체에서 6·25 기념행사를 하는 게 고작이다. 6·25전쟁의 원인을 살펴 보면 미군의 철수, 소련의 남침 승인과 지원 약속(중국과 함께), 남한의 정치·경제적 혼란과 군사력의 절대적 열세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근본적 원인과 막대한 피해상을 학생들에게 체계적으로 교육시키고 국민들에게도 다양한 채널을 통해서 일시적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상기시켜야 할 것이다.

두 번째는, 전쟁 중 희생된 당사자는 물론 그 가족에 대한 예우와 지원을 더욱 확대해야 한다. 그들은 나라를 위해서 목숨을 바쳤거나 당시의 부상으로 평생을 힘들게 사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그에 대한 지원수준은 그 이후의 국가유공자나 대형 사고 피해자에 대한 지원과 비교하면 안타까운 실정이다. 특히 우리의 의식이 문제다. 12년전 어느 자치단체 부단체장 재직시 사회단체보조금 심의를 하던 중 자칭 진보성향 인사들이 보훈단체 지원예산(최소한의 수준)을 삭감하려고 해서 논쟁을 벌인 적이 있는데, 그 때 느낀 점은 ‘우리 남한에 어떻게 저런 생각을 가진 사람(그 것도 지식층)이 있을까?’하는 것이었다. 전쟁 피해자와 가족의 입장에서 다시 한번 생각해 봐야 한다.

세 번째는, 만약의 비상사태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로마제국의 전략가 베게티우스는 “평화를 원하거든 전쟁에 대비하라”고 했다. 앞서 언급한 유머에서 학생은 한 번 맞은 경험으로 두 번째는 피해서 맞지 않았다. 그런데, 우리 사회에는 교사가 지금 꿀밤이 아니라 여러 종류의 총을 만들면서 성능 시험을 하고 있는데, ‘나에게는 쏘지 않아, 우리는 스승과 제자 사이거든’하면서 순진한 건지 어리석은 건지 모를 주장을 하는, 학생보다 못한 사람들이 많은 게 현실이다.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이며 핵과 미사일을 개발하는 북한이 바로 앞에 있다는 현실을 우리 국민 모두가 정확히 직시하고 철저한 대비를 해야 할 것이다.

이기원 전 울산시 기획관리실장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