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봉출 사회부기자

경찰을 흔히 ‘민중의 지팡이’라 칭한다. 사회 정의를 수호하고 법을 집행하는 명패로, 시민곁에서 민중의 삶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울산의 경찰이 이러한 ‘민중의 지팡이’를 들고 시민곁으로 바짝 다가설 준비를 한다.

“전문성과 중립성을 요구하고, 난도가 높은 수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주요 사건이나 지능범죄 등의 수사를 지방청이 맡고, 경찰서는 대민업무에 집중하는 것이 낫다” “억울한 민원은 앞으로 청장이나 서장이 직접 듣고 처리하겠다” “익명으로 일선 경찰들의 고충사항을 받아 근무여건 개선에 나서겠다”

경찰 조직 내 대표적인 수사권 독립론자인 황운하 울산지방경찰청장이 8월초 취임한 이후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울산경찰청이 전국에서 처음으로 시행하는 경찰관 기동대의 지구대·파출소 분산 배치부터 시민을 위한 청문활동 확대까지 다양하고 실험적인 조치가 황 청장의 의지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황 청장은 이 뿐만 아니라 남구 삼산지구대 등 일선 경찰들과 현장 간담회를 한데 이어 주민참여형 치안 활성화를 위해 울산시 여성단체협의회, 울산장애인총연합회 등 지역 단체들과도 치안 간담회도 열고 있다. 유력 인사들로 구성된 협력단체만으로는 시민과 협력하는 모델을 말하기에 한계가 있다는 의지가 반영됐다.

황 청장은 취임사를 통해 경찰 본연의 임무를 말했다. 범죄와 무질서 예방, 공정한 법집행 등 국민들은 경찰이 권력의 경찰이 아닌 시민의 경찰이 되기를 원하고 있다.

굳이 18세기 초 근대 경찰의 창시자인 로버트 필 경의 ‘경찰이 곧 시민이자, 시민이 곧 경찰’이라는 경찰의 원칙을 떠올리지 않더라도 경찰이 시민들을 위해 해야 할 일은 명확하다. 시민을 바라보는 경찰조직은 신뢰를 얻을 수 있다. 총이나 칼보다 신뢰는 더 강한 힘을 발휘한다.

황 청장의 ‘실험’이 시민의 지지를 받는 120만 시민의 울산경찰로 거듭나는 계기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정치 권력의 하수인이 아니라 법과 질서의 수호자라는 인식을 시민들에게 분명하게 심어줄 때 경찰은 진정 시민들에게 사랑받을 수 있다.

김봉출 사회부기자 kbc78@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