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준호 사회부 kjh1007@ksilbo.co.kr

지난 15일 오후 포항에서 발생한 규모 5.4의 지진에 또다시 대한민국이 흔들렸다. 지진이 발생한 포항은 전쟁통을 방불케하고, 지난해 경주지진에 이어 포항지진까지 지진의 직접적 영향권에 있는 울산은 또다시 지진 공포에 휩싸였다.

문제는 1년 전 경주지진 후 ‘대한민국도 더이상 지진안전지대가 아니다’며 정부와 각 지자체들이 매뉴얼 정비와 재난알림 시스템 손질, 각종 훈련, 내진설계 기준강화 등 안전대책을 내놨지만 이번 포항지진 앞에서 제대로 작동했는지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데 있다.

특히 여전히 주민 안전을 책임져야할 일선 구·군의 기준없이 오락가락하는 대처에 주민들의 불안은 더욱 가중됐다.

실제 지진 발생 당시 각 구·군에 출입중이던 본보 기자들에 따르면 일부 지자체를 제외하고는 대피방송은 커녕 공무원들의 안내조차 없었다.

대피 또는 안내방송이 왜 없었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포항이라서 반경 밖이다” “나는 전혀 느끼지 못했다”라는 황당한 대답만 돌아왔다.

시청에서는 지체장애인의 행사를 위해 찾아온 장애인들이 30분간 발만 동동 굴러야했다. 당시 대부분의 시청 공무원들은 이미 청사 밖으로 대피했다고 하니 시민안전은 또다시 남의 나라 이야기가 됐다.

그렇다고 개개인의 안전 인식 변화가 크게 바뀌었는지도 의문이다. 지진과 함께 엘리베이터를 타고 내려오는 공무원과 시민들의 모습은 여전히 지진 등 재난에 대한 불감증을 엿보게 한다.

여진이 계속될 수 있다고 한다. 지금보다 더 큰 지진도 우려된다. 지진이 활발한 양산단층대에 울산은 인접해있다. 원전은 물론 대규모 산업단지, 화학단지가 밀집해있는 것이 산업도시 울산의 현실이다.

안전은 재난이나 사고가 닥쳤을 때 찾는 것이 아니다. 안전은 오지 않은 재난·사고 피해를 최소한으로 줄이려는 예방과 노력에서 나온다.

김준호 사회부 kjh1007@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