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차 울산시 대중교통계획(2017~2021)이 확정·고시됐다. ‘시민이 편리하고 안전한 대중교통 문화도시 구축’을 비전으로 향후 5년간 울산시가 추진할 대중교통 정책방향이 담겨 있다. 대중교통의 체계적인 육성·지원과 시민의 이용활성화 촉진에 목적을 두고 △대중교통 수단 분담률 제고 및 이용편의 증대 △대중교통 운영 효율화 △대중교통 안전성 향상 △대중교통 사각지대 해소 △지속가능한 녹색교통 조성 등 5대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세부추진계획으로는 총 3092억원의 사업비를 투입, 대중교통전용지구와 동남권(부산, 양산) 광역환승할인제를 도입한다. 또 공영차고지 확충, 울산역과 태화강역 복합환승센터 조성, 버스정류장 환경개선, LED 행선지 안내전광판 설치, 공공 와이파이 등 대중교통 관련 인프라를 구축한다. 고속도로(EX-HUB) 환승시설, 시내버스 노선개편, 버스정보단말기(BIT) 확충, 합리적인 재정지원체계 운영, 교통카드 다인 환승제 도입, 교통카드시스템 점검 강화 등도 추진한다.

대중교통의 이용편의, 운영 효율화 그리고 안전성 등 대중교통 서비스 수준을 개선하고, 교통약자를 위한 대중교통 사각지대를 지속적으로 해소해 나가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는게 시의 설명이다. 울산의 유일한 대중교통수단인 버스 운영의 효율성 강화라는 측면에서는 상당히 긍정적이다. 그렇지만 교통수단의 다양화 측면에서는 아쉬움이 적지 않다. 지하철, 트램 도입과 같은 대중교통 수단의 다양화 방안없이 버스 중심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버스에만 의존한 울산의 대중교통에 대한 시민 기대치는 바닥을 기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구밀도가 적은 농어촌지역이 넓게 자리하다보니 편의성과 접근성을 충족하는 세밀한 대중교통체계 구축이 어렵고 효율성도 떨어진다. 직접 연결, 환승 등 직·우회 교통체계도 뒤따르지 못하고 있다. 새로운 교통수단 도입에 대한 행정적 고민 또한 없었다. 시민 스스로도 차 없이는 더 없이 불편한 지역현실을 직시, 자구책으로 자동차 보유율을 높이고 있다. 전국 최고 수준의 자동차 보유율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상황이 달라지고 있다. 울산시가 관광도시를 지향하면서 대중교통의 다양화 및 활성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지역주민조차 불편해 하는 대중교통체계로 관광객을 끌어들이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적어도 울산시가 관광도시를 지향하고 있다면 지금부터라도 지역 특성을 감안한 차별성있는 인간중심적 다양한 교통체제 구축을 고민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