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국가산단지하배관 선진화사업단’을 구성, 대형사고의 최대 위험요소로 작용하는 지하배관 관리시스템 첨단화에 나선다. 지하배관을 안전하게 관리해 시민 안전을 확보하겠다는 문재인 정부 정책과 맞물려 있다. 사업단은 중앙정부와 울산시, 산·학·연 등 16개 기관의 산업안전 전문가로 구성된다. 이들은 국가산업단지 지하배관 관리센터 설립, 드론과 VR 등 4차산업 연계형 지하배관 관리 방안 마련, 누출 감지센서 기술개발 등 지하배관 전 분야에 걸쳐 중앙정부와 함께 추진해야 할 지하배관의 첨단화 시책사업 기획을 주도한다.

관건은 국가산업단지지하배관 관리센터 설립이다. 울산석유화학공단과 온산국가공단내 거미줄처럼 얽혀 있는 무려 1774㎞에 달하는 지하매설배관의 통합 관리를 위해서는 꼭 필요하지만 국가지원에 난색을 표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업단은 오는 3월 산업통상부와 국회를 방문해 난항을 겪고 있고 있는 290억원 규모의 국가산업단지 지하배관 관리센터 등 세부사업을 협의키로 했다. 국가산단 지하배관 안전은 울산만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 과제라는 인식하에 과감한 결단이 이뤄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공약으로 ‘국가산단 지하배관 안전진단 및 개보수 사업’을 채택했다. 국가산단 지하배관의 위험성이 인정됐기 때문이다. 230여개의 정유·화학업체가 입주한 울산석유화학공단과 온산국가공단의 위험물질 지하배관망의 규모는 엄청나다. 화학관 821.1㎞, 가스관 572.2㎞, 송유관 158.9㎞, 상·하수관 124.2㎞, 전기·통신관 90.8㎞, 스팀관 7.3㎞ 등이다. 울산시는 20년 이상 노후화된 지하매설배관을 직접 안전진단해 기업체에 개보수를 유도하는 사업을 하려는 것으로 산업 경쟁력 강화에 한몫할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 지하매설배관은 20~50년 지나 노후화된데다, 배관들이 복잡하게 얽혀 사고가 나면 대형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경주 및 포항지진 발생으로 안전성 문제가 부각되는 등 강화된 지하배관 관리대책이 요구돼 왔다. 최근 5년간 울산지역 전체 유해물질사고의 64%가 국가산업단지에서 발생한데서도 알 수 있다. 전문적이면서 지속적인 안전관리가 그만큼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전국 취급량의 36.5%에 달하는 5768만9000t의 화학물질을 취급하고 있는 울산의 국가산단 관리 문제는 한시도 늦출 수 없는 사안이다. 그 중에서도 낡은데다 관리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지하배관망 관리는 더욱 그렇다. 울산국가산단지하배관 관리센터 조기설립으로 그 첫 단추를 꿰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