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3.9%…연준 통화정책엔 복합적 메시지

미국의 ‘고용 훈풍’이 이어지면서 실업률이 3%대에 진입했다. 실업률이 4% 밑으로 떨어진 것은 지난 2000년 12월 이후로 18년 만이다.

미 노동부는 실업률이 3월 4.1%에서 4월 3.9%로 0.2%포인트 하락했다고 4일(현지시간) 밝혔다. 지난해 10월부터 6개월간 4.1%에 고정된 실업률이 일종의 저항선으로 인식된 4%마저 뚫고 내려간 셈이다.

성별로는 여성이 상대적으로 크게 기여했다.

여성 실업률은 3월 3.8%에서 4월 3.5%로 0.3%포인트 하락했다. 남성 실업률은 별다른 변동 없이 3.7% 수준을 유지했다.

인종별로는 백인이 3.6%, 흑인이 6.6%, 아시아계가 2.8%, 히스패닉이 4.8%를 각각 기록했다.

미국의 고용시장은 사실상 완전고용 상태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완전고용 실업률’이란 인플레이션 압력 없이 달성할 수 있는 가장 낮은 실업률을 의미한다. 기존의 4.1% 역시 완전고용 실업률로 평가됐다.

따라서 ‘3%대 실업률’은 상징적인 의미가 더 크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고용지표 발표 직후 트윗에서 “실업률 3.9%, 4%가 깨졌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고용지표 발표 직전에도 트윗을 통해 “미국의 일자리 상황이 너무 좋다. 실업수당 청구도 1973년 이후로 최저 수준이다. 대단하다”고 말했다.

실업수당 청구가 감소했다는 것은 그만큼 고용이 증가했다는 뜻이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실업률이 올해 3.7%까지 하락할 것으로 보고 있다. 

‘3%대 실업률’이라는 상징적 측면을 제쳐놓으면 실제로는 전문가들의 눈높이에는 미치지 않는 부진한 성적표라는 분석도 나온다.

우선 비농업 일자리가 16만4천 개 증가했다. 민간 부문에서 16만8천 개가 늘었고, 정부 부문에서는 4천 개가 줄었다.

전달의 증가 폭 13만5천 개보다는 많았지만 시장 전문가 예상치(19만1천 개)에는 크게 못 미치는 수치다.

경제활동참가율은 62.8%로 0.01%포인트 하락했다. 

무엇보다 임금상승률이 부진했다. 

시간당 임금은 3월 26.80달러에서 4월 26.84달러로 0.04달러 증가했다. 작년 동월 대비로는 2.6% 증가한 것으로 전문가들의 예상치(2.7%)를 밑도는 수치다.

일반적으로 실업률이 떨어지면 임금이 상승하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인다는 게 경제학의 통설이다. 따라서 임금상승 속도가 더디다는 것은, 고용 훈풍과 인플레이션의 연결고리가 뚜렷하지 않다는 뜻이다.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임금상승률을 고려하면 이번 고용지표가 연준의 금리 인상 결정에 직접적인 변수가 되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평가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