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울 좋은 부자도시 울산의 민낯이 드러나고 있다. 자동차·조선·석유화학 등 주력산업을 내세워 지역 실질총생산과 1인당 총생산 전국 1위라는 타이틀을 지키고 있지만 정작 시민 삶의 지표인 개인소득은 전국 평균을 조금 웃도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지역에서 많이 벌어들인 만큼 세금과 기업이익으로 빠져나가는 비중이 큰 탓이다. 게다가 고용사정은 전국 최악 수준이다. 실업자 수와 실업률이 IMF 외환위기 이후 20년만의 최고치로, 최악의 ‘고용쇼크’ 상황을 보이고 있다. 주력산업의 생산·수출지표 모두 악화된데 따른 것으로, 제조업 취업자는 24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하고 일자리를 찾아 떠나는 근로자들의 탈울산 행렬이 지속되고 있다. 현재 진행중인 조선업계 추가 구조조정을 감안하면 ‘일자리 빙하기’는 상당기간 지속될 전망이다.

16일 동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4월 울산 고용동향에 따르면 울산의 실업자 수는 3만6000명으로 전년 동월에 비해 1만5000명(67.9%) 증가했다. IMF 외환위기 이후인 1999년 8월(2만8000명) 보다도 8000명이나 많은 수치다. 실업률 5.9%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다. 같은 기간 전국의 실업률이 1년 전보다 0.1%P 하락한 4.1%에 머무른 것과는 대조적이다. 4월 취업자수도 57만1000명으로 전년 동월에 비해 1만2000명(-2.1%) 감소했다. 전월에 비해서는 5000명(-0.8%) 감소했다. 주력업종인 제조업의 실업률이 갈수록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도소매, 음식·숙박, 자영업 등 고용시장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는 양상이다. 일자리정부를 표방하는 현 정부 출범 1년이 지났지만 악화된 울산의 고용지표는 쉽사리 개선될 여지를 보이지 않는 현실을 어떻게 타개할지 마음이 무겁다.

정부부문 유출과 기업이익으로의 유출로 실제 개인소득 비중은 높지 않다는 한국은행 울산본부의 분석은 거품 낀 ‘산업수도 울산’의 실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지역소득’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지역내총생산이 가장 큰 지역은 6096만원을 기록한 울산이었다. 전국 평균의 거의 두 배 수준이다. 반면 1인당 지역 총소득은 5101만원으로 전국 평균 대비 1.6배로 떨어졌고, 1인당 개인소득은 2018만원으로 전국 대비 1.1배에 불과했다. 정부 세금과 사회부담금 등 순이전 소득을 비롯한 지역총생산 대비 소득역외유출비중이 높은 탓이다. 기업이익 배분도 큰 부분을 차지한다. 본사를 서울에 둔 대기업의 생산기지 역할을 하는 울산의 현주소를 보는듯 해 씁쓸하기 그지 없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