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서도 발암물질인 PFOA·PFHxS 검출돼 논란
현재 저수율 넉넉해 낙동강 원수 끌어쓰지 않지만
식수 상당부분 낙동강물에 의존 울산도 안심 못해
“식수문제 해결” 공약 송시장 정치력 시험대 오를듯

‘낙동강 수계 과불화화합물 검출 사태’로 울산시민의 식수권이 상시 위협받고 있다는 사실이 재차 확인됐다.

반구대암각화 보존과 연계된 ‘울산권 맑은물 공급사업’이 장기 표류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낙동강 수질 관리에 허점이 드러나면서 울산시민들의 식수 불안감은 가중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경북의 맑은 물을 끌어와 식수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공약한 송철호 울산시장 당선인의 정치력이 시험대에 오를 전망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이 지난 5월 낙동강 수계 18개 정수장에서 진행한 과불화화합물 조사 결과 발암물질인 과불화옥탄산(PFOA)은 울산 천상정수장에서 0.005㎍/ℓ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 논란을 일으킨 대구 문산정수장(0.003㎍/ℓ)과 매곡정수장(0.004㎍/ℓ) 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다.

발암물질보다 체중감소와 콜레스테롤 수치 감소, 갑상선 호르몬 수치 변화 등을 유발하는 과불화헥산술폰산(PFHxS)도 검출됐다.

울산은 0.015㎍가 검출돼, 대구 문산·매곡정수장 0.102㎍, 0.126㎍와 부산 덕산·화명정수장 0.035㎍, 0.054㎍ 보다는 적은 수치를 보였다.

전국적으로 이같은 검출 결과에 따른 파장은 매우 컸다.

대구 등 일부 지자체에서는 대형마트에서 생수 품귀현상까지 생기기도 했다. 그러나 과불화옥탄산 검출량은 세계에서 가장 엄격한 미국 권고치(0.07㎍/ℓ)보다 낮았고, 과불화헥산술폰산은 캐나다 기준치(0.6㎍/ℓ)를 훨씬 밑돌았다.

또한 정부가 “안심하고 수돗물을 마셔도 된다”고 진화에 나섰지만, 식수원 관리에 구멍이 생겼다는 점에서 우려는 가라앉지 않고 있다.

정부는 상수원인 낙동강 수계에서 문제의 물질 배출 사업장을 확인하고 배출을 차단했지만, 4대강 사업으로 설치한 보 때문에 유속이 느려져 사태가 완전히 해결되기까지는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발생지로부터 오염물질이 울산의 원동취수장까지 도달하려면 한달 정도 걸릴 것으로 정부는 예상하고 있다.

현재 울산은 대곡댐과 사연댐, 회야댐의 저수율이 다소 넉넉해 낙동강물을 끌어쓰지 않고 있어, 울산 시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전망이다.

그러나 청정수원 부족으로 식수의 상당 부분을 낙동강물에 의존해오고 있는 울산 입장에서는 식수생존권이 달린 문제여서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더욱이 반구대암각화 임시 보존방안으로 사연댐 수위조절을 시행하면서 울산의 청정수원 부족현상은 더욱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유일한 대안으로 거론된 ‘울산권 맑은물 공급사업’은 ‘대구·경북권 맑은물 공급사업’과 맞물려 별다른 진척 없이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다.

대구권의 취수원을 구미 해평취수장으로 옮기는 대신 운문댐 식수 7만t(1일)을 울산에 공급하는 것이 골자다. 그러나 구미시가 해평취수장을 공동 사용하면 수량이 줄고 수질이 나빠진다는 이유로 완강히 반대하고 있다. 특히 이번 과불화화합물 검출 사태로 지자체 마다 맑은물 확보전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보이면서 울산권 맑은물 공급 사업의 현실화는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송철호 울산시장 당선인의 정치력이 요구된다.

송 당선인은 지방선거에서 “낙동강 수계 상류의 안동댐(11억t)과 영천댐(7억t), 임하댐(7억t) 등에는 울산 인구의 2배가 넘는 300만명이 마시고 사용할 수 있는 물이 남아돌고 있다”며 “경북의 지자체와 환경부 등과 원할하게 협의해 이 물을 울산의 식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공약한 바 있다.

최창환기자 cchoi@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