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축제 통폐합 논란이다. 울산시가 지역축제 조정과 통합을 위한 추진단을 새로 구성하고 지역축제 활성화 방안 마련을 위한 용역에 들어갈 것이라고 한다. 단체장 임기가 새로 시작될 때마다 나오는 이야기다. 이미 수차례 시도됐던 일이기도 하다.

가까운 사례로는 2012년 축제통폐합 바람이 강력하게 불었다. 이 때는 정부가 나섰다. 전국적으로 축제가 너무 많다며 축소하라는 방침이 내려왔다. 이에 따라 축제라는 단어만 다르게 포장하는 웃지못할 상황도 만들어졌다. 2014년에도 또 한차례 ‘붕어빵식 축제 지양’이라는 울산시장의 지시아래 축제통폐합 논의가 있었다. 지난해에도 문화재단 출범과 함께 구·군별 대표민속축제 육성, 처용문화제와 월드뮤직페스티벌 분리라는 소용돌이가 지나갔다.

연구용역도 몇차례 진행됐다. 울산발전연구원이 내놓은 연구과제만 해도 2007년 ‘지역대표축제 발굴을 통한 지역브랜드 가치 창출 전략 연구’, 2016년 ‘울산의 새로운 축제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2017년 11월 ‘울산 브랜드축제 개발 연구’를 수행했다. 또 무슨 용역이 필요한가 의문이다.

그럼에도 축제를 비롯한 문화행사가 너무 많다고들 한다. 이는 울산만의 문제는 아니다. 경제적 수준이 높아질수록 문화행사가 많아지고 다양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시대적 흐름이다. 수차례 통폐합을 했음에도 여전히 문화행사가 난립한 것처럼 비쳐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물론 불필요한 문화행사도 없지 않다. 예산이 들어가기 때문에 예산 대비 효과를 엄중하게 진단해서 낭비를 줄일 필요는 분명 있다. 쉽게 말해 가성비를 따져 행사를 폐지하거나 예산·규모를 축소하는 작업은 끊임없이 해나가야 한다. 다만 그 기준이 정치인의 시각에서 중시되는 관객동원율이 돼서는 안 된다.

문화행사에는 각기 다른 목적이 있다. 지역 문화의 정체성 확보, 공동체 의식 향상, 수준 높은 문화 향유 욕구의 충족, 관광객 동원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등 다양하다. 세대와 계절, 장르 등도 고려된다. 이 모든 조건을 한꺼번에 충족시키는 문화행사는 세계적으로도 흔치 않다. 때문에 수많은 문화행사를 ‘통폐합’이라는 테이블 위에 한꺼번에 올려놓기는 쉽지 않다. 조정과 통합을 위한 추진단 보다는 오히려 각각의 축제에 대한 평가위원회가 더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문화행사가 너무 많다는 주민들의 불만이 기존 행사를 통폐합한다고 해서 해결될지도 미지수다. 사실, 울산시민들의 바람은 부산국제영화제나 광주비엔날레 또는 화천산천어축제나 함평나비축제처럼 울산의 대표 브랜드가 될만한 문화행사를 갖고 싶다는 것이다. 문화행사나 축제와 관련한 민선 7기의 궁극적인 과제는 행사의 숫자를 줄이거나 시기를 통합하는 등의 통폐합이 아니라 거액의 예산을 들이더라도 울산의 품격과 시민들의 자긍심을 높여줄 제대로된 문화행사를 만드는 것임을 간과하지 않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