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고용쇼크가 제조업은 물론 서비스업과 건설업 등 산업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소식이다. 산업생산 부진에 최저임금 상승과 근로시간 단축 등 노동여건 변화가 맞물리면서 울산경제가 취업자 감소-실업자 증가-인구유출-소비침체-생산부진-고용악화의 악순환에 빠져들고 있다는 것이다. 조선과 자동차 등 주력산업의 경쟁력 약화가 그 중심에 있다. 석유제품 및 석유화학제품 등의 수출 호조에도 불구하고 올해 상반기 울산의 수출이 전년대비 마이너스 성장을 한데서도 잘 드러나고 있다. 자동차의 경우 올들어 5개월 연속 10%의 수출 감소율을 보이고 있다. 선박 수출은 2003년 상반기 이후 15년만에 최저치를 기록, 곧바로 지역의 고용한파로 이어지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지금 경쟁력을 상실한 울산 동구의 해양공장 가동중단을 앞두고 있다. 또 해양플랜트 모듈을 제작했던 울산 울주군 온산공장(해양 2공장)을 매각할 예정이다. 해양플랜트 부문의 일감이 동이 난데다 추가적인 수주 가능성 또한 적다는 판단에서다. 현대자동차도 울산공장 의존도 낮추기에 여념이 없어 보인다. 울산 자동차산업의 2016년 생산액은 39조6000억원으로 지역내 제조업 생산액(167조7000억원)의 23.6%를 차지한다. 종사자수도 49만8000명에 이른다. 막대한 영향력을 갖고 있는만큼 수출 감소 등 성장성 둔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력도 크다. 지역의 생산, 수출, 고용 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조선, 자동차와 같은 주력산업의 경쟁력 회복없이는 울산을 억누르고 있는 고용불안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울산의 제조업 취업자(7월 현재)는 벌써 27개월째 감소했고, 실업자는 불어나고 있다. 2분기 울산의 실업률은 5.0%로 1998년 3분기 이후 최대치로 치솟았다. 일자리가 사라지자 6월말까지 32개월째 지역인구의 역외유출 행렬이 이어졌다. 더 큰 문제는 이같은 울산의 고용쇼크가 주력제조업에 이어 광공업은 물론 서비스업·건설업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다는 것이다. 어쩌면 IMF외환위기 때도 겪어 보지 못했던 상황을 울산이 맞닥뜨릴지도 모른다는 우려감까지 나오고 있다. 뚜렷한 대책은 보이지 않는다. 물론 민선 7기 울산시정의 첫 머리에 일자리대책이 들어있다. 정부와 연계, △부유식 해상풍력 △수소에너지 △북방경제협력 전진기지 △관광인프라 구축 등 4개 일자리 콘셉트를 통해 난관을 극복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고 있지만 작금의 위기에 대한 해법이 될지는 의문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