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력산업 고용악화로 탈울산 가속

고령화로 인한 성장동력 감소도 걱정

은퇴자 포함 인적자원개발 체계 필요

▲ 윤동열 울산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울산인자위 선임위원
지난 17일 통계청이 발표한 7월 고용동향을 살펴보면 취업자 수는 2708만3000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5000명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는 2010년 1월 마이너스 1만명을 기록한 이후 8년 6개월 만에 가장 적은 증가 폭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실업자 수도 103만9000명으로 2017년 7월보다 8만1000명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실업자 수가 7개월 이상 연속으로 100만명을 넘은 것은 2000년 3월 이후 18년 4개월 만의 일이다.

연이어 19일 동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7월 울산시 고용동향을 살펴보더라도 취업자 수는 56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에 비해 1만9000명(-3.2%) 감소했으며, 고용률도 58.4%로 1.7%p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실업자 수는 2만9000명으로 전년 동월에 비해 6000명(26.3%)이나 증가했는데, 특히 여자 실업자 수도 5000명(86.8%)이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지역 실업자 수는 올해 4월 3만6000명을 기록했는데, 금융위기 시기인 1999년 8월에 기록한 2만8000명 이후 최고치를 경신하고 고공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울산의 7월 실업률은 4.9%로 17개 시도 가운데 1위를 기록, 전국 평균 실업률 3.7%보다 1.2%p 높은 수준이다. 더욱이 이러한 울산의 고용쇼크 영향은 주력산업인 조선, 자동차 등 제조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역 서비스업과 건설업 등 산업 전반에 확산되고 있다. 최근 수출부진 및 근로여건의 변화로 취업자 수가 급감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실업자 증가 및 지역 인구의 외부유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주력산업의 고용위기로 탈울산 행렬도 이어져 6분기 연속 감소하면서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7월 국내인구이동 현황을 보더라도 유입 1만120명, 유출 1만1135명으로 1015명이 한달간 순유출 되었으며 이는 서울 -1.1%에 이어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울산인구는 2015년 12월부터 시작해 32개월 간 2만6604명이 빠져나간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서울의 경우 집값인상 등의 영향으로 수도권으로의 이주가 주된 원인으로 본다면 울산지역의 경우에는 제조업 생산 및 수출 부진에 따른 소비침체와 고용악화로 일자리를 찾아 생산가능인구가 이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분명히 차이가 있다. 특히 과거 성장기에 조선, 자동차, 석유화학 등 일자리를 찾아 전국 각지에서 울산으로 몰려들었던 인력들과 최근 공공기관 이전으로 거주를 결심했던 직원들과 가족들도 지역 경기악화 및 정주여건을 이유로 수도권 및 부산 등으로 역이주 하는 현상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물론 생산인구 감소도 고용여건 악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상반기까지 울산의 출생아 수는 4200명으로 지난해 동일기간 보다 700명 감소했다. 이는 울산지역뿐만 아니라 전국적인 문제로 인구구조의 변화는 우리나라와 지역사회의 고용여건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 특히 15세이상 64세미만 생산가능인구는 2017년부터 감소가 시작되어 전년대비 1만명 감소하였고, 2020년에는 24만명, 2024년에는 34만명 급감할 전망이며, 2033년을 정점으로 생산가능인구 자체가 감소할 전망이다. 반면 65세이상 고령인구는 전년대비 31만명이 증가했으며, 베이비붐 세대가 진입하는 2020년에는 44만명이 급증해 2025년에는 총 1000만명을 초과할 전망이다.

울산지역 주력산업의 역군으로 활동하고 은퇴를 준비하는 5060 신중년 세대는 주된 일자리 퇴직 이후에도 72세까지는 일자리를 희망하고 있어 이들에 대한 직업능력개발 욕구도 동반 증가하고 있다. 고령화로 인한 성장동력 감소에 대한 대응을 위해서는 평생학습체계를 기반으로 지역대학 및 훈련기관을 통한 이들에 대한 지속적인 인적자원개발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우수 노인고용기업 인증 및 지원, 은퇴자의 기술전수를 지원하는 세대통합형 일자리 도입 등으로 민간시장에서의 고령자 고용을 촉진하는 등 베이비부머, 전문직 은퇴자를 위한 사회공헌 일자리 유형을 도입할 수도 있을 것이다.

윤동열 울산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울산인자위 선임위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