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형중 경제부 차장

‘항만 미세먼지 2022년까지 2017년의 절반 수준 감축’ ‘항만하역장비 LNG 전환’ ‘노후예선 LNG 전환 시범사업’. 최근 친환경 항만인프라 확충과 관련해 해양수산부가 발표한 2019년 주요 업무계획안이다. 앞으로 3년내 항만 미세먼지를 2017년 대비 50% 이상 감축한다는 게 주요 골자다. 우선 환경부와 함께 실시간 항만 대기질 측정망도 설치하고 선박에 대해서는 배출가스 규제와 친환경 선박 지원을 강화한다. 선박 배출가스 규제 또한 강화해 2020년 외항선박을 시작으로 내항선박까지 적용대상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특히 울산항만공사는 정부로부터 예선에 대한 LNG 전환 시범사업 대상지로 선정돼 올해부터 신규로 추진된다. 항만하역 장비인 야드 트랙터도 LNG로 전환하고 신규부두를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의무화될 계획이다. 한 마디로 항만전반에 ‘클린’색을 입히겠다는 것이다. 울산, 부산 등 대규모 항만도시에서는 미세먼지를 저감하려는 노력이 자동차와 공장의 굴뚝에서 바다위 선박으로 확대되는 양상이다.

사실 울산항을 오가는 노후선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점은 오래전부터 각인돼 온 사실이다. 일각에서는 울산 전체 미세먼지 발생량의 18% 정도가 이러한 선박(노후)이라는 시각도 나온다. 항만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은 비단 미세먼지만이 아니다.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과 같은 대기오염물질도 억제시켜 나가야 한다.

부두에 입항한 선박의 공회전을 줄이기 위한 육상전원공급장치의 활용도 향상도 시급히 고민해야 할 과제중 하나다. 울산항 일원에 대한 친환경 LNG벙커링 구축사업도 진행하고 있는 만큼 항만 전체를 대상으로 클린정책을 단계별로 세부적으로 추진해 실천해 나가야 한다. 무엇보다 울산은 전국 최대 액체허브 항만으로 위험물 화물에 대한 취급비율이 높은 만큼 이러한 환경대비책 마련과 함께 위험화물 안전도 향상도 더욱 심도깊이 논의해야 한다.

또한 울산항은 국유부두 뿐 아니라 기업체들이 운영하는 자가부두도 많은 만큼 기업과 항만당국간 클린항만 네트워크도 활성화시켜야 한다. 연간 2만4000여척의 선박이 드나들고 수많은 종류의 화물이 하역·보관·운송되고, 바다를 끼고 곳곳에서 항만개발이 추진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더라도 미세먼지 대책을 선박과 장비 현대화 사업에만 그쳐서는 안된다는 얘기다.

이제 클린항만은 선택이 아닌 필수사항이다. 시대적 과제인 셈이다. 미국이나 유럽, 일본, 싱가포르 등 선진항만은 오래전부터 항만에 ‘친수’‘클린’‘친환경’ 옷을 입히는데 공을 들여왔다. 오염과 악취로 대변되는 더티항만으로는 글로벌 항만으로 도약할 수 없다는 공통된 인식에서 비롯됐다.

훗날 이번 정부의 계획안이 단순히 ‘땜질식 처방’에 그친다거나 ‘보여주기식 의도가 다분했다’는 평가를 받지 않도록 강력한 실행 드라이브를 걸고 나서야 한다. 클린항만 사수에 정부 뿐 아니라 울산항만공사도 적극적으로 핸들을 쥐어야 한다. 울산이 ‘클린항만’이란 타이틀을 최대 무기로 삼아 글로벌 항만도시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모습은 지나친 기대감일까. leehj@ksilbo.co.kr

이형중 경제부 차장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