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의존 높아 대외환경에 민감

 

한국 경제의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개선했지만 여전히 주요국 가운데 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가가치 창출이 큰 서비스업 비중이 작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수입의존도도 줄었으나 여전히 다른 국가보다 높아 대외 경제 환경 변화에 취약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은행이 지난 15일 발표한 ‘2015년 기준년 산업연관표 작성 결과’를 보면 2015년 한국 경제의 재화와 서비스 총공급(총수요)은 4457조6000억원이었다. 직전 조사 때인 2010년보다 18.6% 증가했다.

이 가운데 수출(717조원)과 수입(624조원)을 합친 대외거래는 1341조원으로 30.1%를 차지했다. 5년 전(33.1%)보다 3.0%p 줄었다.

대외거래 비중이 낮아진 것은 원유 가격이 내려간 영향이 크다.

그러나 한국의 대외거래 비중은 미국(13.7%), 중국(14.1%), 일본(16.5%)보다 높은 편이다. 주요국 중에선 독일(32.1%)이 유일하게 한국보다 대외 거래 비중이 높았다.

산출액을 부문별로 보면 서비스 비중이 44.9%로 5년 전보다 4.6%p 상승했고 공산품은 44.5%로 4.2%p 낮아지며 산업구조의 서비스화가 진전됐다.

부가가치 기준별로도 서비스 비중은 57.7%에서 59.9%로 2.2%p 상승했으나 공산품은 31.7%에서 29.5%로 하락했다.

총산출액(총투입액) 대비 중간투입액 비중은 57.3%로 5년 전 조사 때보다 3.2%p 하락했다. 원유 등 원자재 가격 하락, 산업구조의 서비스화 진전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총산출액 대비 부가가치액은 42.7%로 3.2%p 올랐다.

총수요(내수+수출)에서 소비, 투자, 수출 등 최종수요가 차지하는 비중은 50.7%로 생산 활동에 중간재로 사용된 중간수요 비중(49.3%)보다 컸다.

총산출액 대비 수출을 보여주는 수출률은 18.7%로 1.4%p 하락했다.

한국의 수출률은 독일(20.8%)보다 낮지만 미국(6.6%), 중국(8.1%), 일본(8.9%)보다 높은 편이다.

총산출액 중 중간재 수입액을 뜻하는 수입의존도는 12.4%로 5년 전보다 3.2%p 하락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