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혁신도시를 다시 주목해야 한다. 올해 비로소 공공기관 10개가 모두 이전을 완료했기 때문이다. 사무실은 울산에 두고 있으나 여전히 머리는 서울을 향하고 있는 공공기관들의 토착화와 지역에서의 기능·역할 제고를 위한 울산시의 적극적이고도 다양한 전략 수립이 절실한 시점이다.

이에 울산발전연구원 강영훈 박사가 1일 내놓은 ‘울산혁신도시와 연계한 신산업 육성방안’이라는 제목의 이슈리포트는 매우 시의적절하다. 강 박사는 “10개 이전 공공기관이 지역혁신 거점으로서의 역할이나 지역산업의 스펙트럼 다양화에 기여하고 있다고 판단하기에 한계가 있다”면서 “울산혁신도시의 물리적 이전이 완료된만큼 신산업육성을 위한 울산의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의 제안은 △재난안전교육훈련 서비스산업 육성 △전시컨벤션산업의 육성을 위한 ‘컨벤션 뷰로’의 설립 △이전 공공기관과 협력하는 긴밀한 소통창구 일원화 등 세가지로 요약된다.

재난안전교육훈련 서비스산업 활성화를 위해 그 기반이 되는 재난안전종합교육훈련원의 설립은 좋은 제안이다. 올해 7월 공주에 국민안전교육연구단지가 개원했기 때문에 유사기능을 가진 또다른 훈련원의 설립이 쉽지는 않겠으나 그의 말대로 안전산업이 새로운 블루오션인 것만큼은 분명하다. 지진과 기후변화 등 국가재난이 다양해진 만큼 울산에 옮겨온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을 안전산업육성의 디딤돌로 삼아야 할 것이다.

국제회의 유치에 필요한 모든 업무를 지원하는 전담팀을 일컫는 ‘컨벤션 뷰로 설립’은 이미 많이 늦었다. 울산전시컨벤션센터의 개관은 내년이다. 국제회의 준비 기간을 고려하면 전문 조직 구성을 서둘러야 한다. 특히 이전공공기관이 주최하는 대규모 행사 개최에 울산시가 주도적 역할을 하려면 전문성을 갖춘 조직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앞서 당장 필요한 것이 공공기관 협력기구다. 혁신도시발전협의회가 있긴 하지만 1년에 한두차례 형식적 회의가 전부다. 담당자조차 정해져 있지 않은 공공기관도 있다. 울산시가 주도적으로 협력기구를 만들어 공공기관의 지역 토착화는 물론 공공기관간의 교류, 지역 기업들과의 연계사업 등을 적극 추진해야 할 것이다.

울산혁신도시는 전국에서 가장 좋은 여건을 갖춘 곳에 자리하고 있다. 하지만 공공기관 이전에 따른 협력업체 유인 등의 효과는 극히 미미하다. 일차적으로 공공기관들의 배타적 인식이 큰 원인이긴 하지만 울산시의 전략 부족도 중요한 이유의 하나로 꼽힌다. ‘완전체’가 된 혁신도시가 ‘혁신성장의 거점으로 발전하는 자립적 신도시’라는 애초의 목표를 달성하도록 울산시의 적극적인 행정이 절실한 때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