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우사 경제부

지난 7월 초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로 인해 시작된 일본 불매운동이 연일 언론의 주요 이슈를 장식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일본 불매운동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울산에서도 많은 시민들과 소상공인들이 일본제품 ‘안 사고, 안 팔기’에 자발적으로 동참하고 있다.

그런데 일본 불매운동이 확산됨에 따라 생각지 못한 문제도 곳곳에서 감지되는 분위기다. 본사 임원이 우리나라를 무시하는 발언을 한 ‘유니클로’, 혐한 콘텐츠로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화장품회사 ‘DHC’ 등은 분명 불매운동 대상이지만, 그와 관련된 제품을 취급하거나 일본식 음식 등을 제공하는 애꿎은 지역 소상공인들까지 피해를 입고 있다.

최근 일본 불매운동이 일본문화 자체에 대한 반일감정으로 치달으면서 돈까스와 카레, 라멘 등 일본식 음식을 취급하는 울산지역 매장들로까지 파장이 일고 있다. 그중 상당수는 일본기업과는 전혀 상관없는 개인 자영업자들이다.

물론 불매운동에 있어 어느 정도의 투자비율을 가져야 일본기업이라고 명할 것인지, 일본제품을 취급하는 지역의 매장은 모두 불매운동의 대상이 돼야 하는지 등 명확한 기준을 설정하기란 쉽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최근 기자가 만난 유통업계 관계자는 “최근의 일본 불매운동이 관련 제품을 취급하는 기업 차원에서는 반길 수 없지만, 대한민국의 한 국민으로서는 지지한다”며 “다만 그 과정에서 잘못된 정보와 가짜뉴스로 인해 피해를 보게되는 이들이 없도록 경계해야 한다”고 우려했다.

여기서 우리는 일본 불매운동을 왜 시작했는지, 그리고 그 대상과 방향에 대해서 짚어 볼 필요가 있다.

당초 일본 정부의 무역제재는 우리 대법원의 ‘일제 징용배상’ 판결에 대한 불만으로 시작됐다. 즉 일본 불매운동의 대상은 국내기업에 불합리한 제재조치를 가하고, 과거사에 대한 반성 및 보상을 거부하는 일본정부임을 확실하게 해야 한다.

또한 불매운동이 일본 정부와 기업 등을 대상을 할지라도, 잘못된 정보로 인해 억울하게 피해를 입는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히 경계했으면 한다.

이우사 경제부 woosa@ksilbo.co.kr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