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왕수 정치부 기자
지금까지 ‘울산권 맑은 물 확보 방안’이 우선 순위였다. 그러는 사이 국보 제285호 반구대암각화는 물에 잠기길 반복했다. 민선 7기 송철호 울산시정부 들어서도 마땅한 해법이 나오지 않았다. 하지만 지난해 11월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종합정책질의에서 반구대암각화 보존 방안과 울산권 맑은 물 확보 방안이 포함된 낙동강 수계 물관리 관련 비공개 합의내용이 알려진데 이어 지난 4월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환경부 장관, 문화재청장, 울산·대구시장, 경북도지사, 구미시장이 참석한 가운데 ‘낙동강 물 문제 해소를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을 맺으면서 물꼬가 트이기 시작했다.

정부 주도로 진행되는 ‘낙동강유역 통합물관리방안 마련 연구용역’에서 구미산업단지 폐수 무방류시스템 도입 연구가 성공할 경우 대구와 경북은 운문댐 등의 물을 울산지역에 공급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울산권 맑은 물 공급사업과 연계된 반구대암각화 보존 문제가 단숨에 해결된다.

지금까지는 울산권 맑은 물 확보 방안이 최우선 순위였지만 이번 용역을 통해 반구대암각화 보존 방안과 맑은 물 확보 방안을 동시에 찾는다는 점에서 결과에 더욱 관심이 가고 있다. 용역 결과의 대략적인 틀은 올 연말께, 최종 결과는 내년 3월께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용역이 한창 진행되는 와중에 울산지역 정치권과 시민사회단체 등에선 사실상 ‘선(先) 반구대암각화 보존’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당장 사연댐에 수문을 설치해 반구대암각화를 물속에서 완전히 건져내야 한다는 주장이다.

울산시의회가 사연댐 수문 설치 공론화에 사실상 불을 당겼다. 시의회 의원연구단체인 ‘울산행정포럼’은 지난달 19일 ‘사연댐 여수로 수문설치에 관한 시민토론회’를 개최했다. 당시 수문 설치 가능한가, 수문 설치 후 활용방안, 수문 설치에 따른 문화재청 지원방안 등 ‘선(先) 반구대암각화 보존 방안’으로 꼽히는 수문 설치를 전제로 하는 주제 발표가 이어졌다. 또 대곡천 반구대암각화군 유네스코 등재 시민모임과 울주정책포럼, 더불어민주당 울산시당 등도 반구대암각화의 수몰을 막기 위해 사연댐에 수문을 설치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시민모임은 “유네스코 우선등재가 코 앞으로 다가온 만큼 더이상 기다려선 안된다”며 사연댐 수문 설치를 요구하는 무기한 범시민 릴레이 단식 투쟁을 진행중이다.

울산시는 사연댐 수문 설치 요구에 대해 “낙동강유역 통합물관리방안 마련 연구용역 결과가 나온 이후 검토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답변한 상태다.

시 입장에선 암각화 보존과 물 문제 동시 해결방안을 찾는 정부 주도 연구용역이 진행되는 특수한 상황에서 선(先) 사연댐 수문 설치 요구를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았기 때문에 이같이 답변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소통에 있어 아쉬운 점이 있다. 지금은 지역사회의 분열이 아니라 혼연일체의 자세로 한 목소리를 내야 할 때가 아닐까. 용역에서 어떤 결과가 나올지 모르는 상황에서 울산시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물론 사연댐 수문 설치를 요구하는 시의회를 비롯한 지역사회와도 충분히 소통하며 용역결과에 따른 대응방안을 마련하는데 전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wslee@ksilbo.co.kr

이왕수 정치부 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