月평균 49만원…2003년 통계 집계 이후 최대
사적 이전소득까지 포함땐 근로소득의 4.2배
가구주 평균 연령 69세…고령화 가속화 영향

 

올해 3분기에 소득 하위 10% 가구가 정부로부터 받은 공적 이전소득이 근로소득의 3배에 달했다. 공적 이전소득을 포함한 이전소득, 그리고 근로소득 대비 이전소득 배율 두 가지 모두 2003년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후 최대였다. 소득 하위 10% 가구의 가구주 평균 연령이 70세에 육박하는 등 고령화 속도가 빨라진 데 따른 현상이다.

24일 통계청의 올해 3분기(7~9월)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 분석에 따르면, 전국 명목소득 하위 10% 가구(2인 이상)의 월평균 공적 이전소득은 약 49만원으로 근로소득(15만6000원)의 3.1배에 달했다.

박상영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3분기 소득 하위 10% 가구의 공적 이전소득은 약 49만원으로 2003년 통계 집계 이후 역대 최대 수준일 것”이라며 “공적 연금과 기초연금이 모두 두 자릿수대로 늘어나는 등 정부의 저소득층 지원이 강화된 게 확연히 나타났다”고 말했다.

공적 이전소득은 국민연금, 기초연금, 아동수당 등 정부가 지원하는 돈이다.

3분기 소득 하위 10% 가구가 부모에게 자녀가 주는 생활비와 같이 다른 가구로부터 받은 사적 이전소득은 16만7900원으로 증가폭이 둔화했다.

이에 따라 소득 하위 10% 가구가 외부로부터 받은 이전소득(공적 이전소득+사적 이전소득)은 65만7900원에 달해 근로소득의 4.2배를 기록했다.

3분기 이전소득, 그리고 근로소득 대비 이전소득 배율 두 가지 모두 2003년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후 최대였다.

이는 3분기에 소득 하위 10% 가구주의 평균연령이 69세로 역대 최고로 치솟은 데 따른 영향으로 추정된다.

소득 하위 10% 가구주의 평균연령은 2003년 통계 집계가 시작됐을 당시만 해도 55세였다. 이후 2008년 1분기 정년인 60세를, 2016년 2분기 65세를, 2018년 1분기 67세를 차례로 넘어선 뒤 불과 1년 만에 69세로 올라선 것이다.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소득 하위 10% 가구의 전체 월평균 소득(90만1300원)에서 이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73%에 달했다.

박상영 과장은 “2015년 이후 소득 하위 10% 가구주 연령의 상승폭이 빨라졌다”면서 “가구주 연령이 65~70세가 되면 농사짓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는 일자리를 잃어 소득이 전혀 없어지기 때문에 정부 지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1인 가구 포함 전체 소득하위 10% 가구 기준 60~65세 미만 가구주는 무직비율이 대략 50%중반이지만, 65~69세 미만 가구주는 60%후반대, 70세를 넘어서면 70%후반대로 급등한다”면서 “더이상 일해서 돈을 버는 게 절대적으로 어려워지는 연령”이라고 덧붙였다.

3분기 소득 하위 10% 가구의 근로소득은 전년 동기보다 9.8% 감소하는 등 지난해 1분기부터 7분기째 감소하고 있다. 감소폭은 지난 2분기(-29.0%)보다 축소됐다.

김영훈 기획재정부 정책기획과장은 “베이비붐 세대(베이비부머, 1955~1963년생)가 65세에 진입하는 내년부터 5년여간 고령화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이라면서 “이로 인해 소득 하위 계층의 근로소득이 줄어드는 것은 정부 이전소득으로 채우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65세 이상 진입인구는 2015년 40만명대에서 올해 60만명대로 늘었고, 내년에는 70만명대, 2025년에는 90만명대로 늘어난다는 게 통계청의 추산이다.

반면 소득 상위 10% 가구의 월평균 이전소득은 59만4500원으로, 근로소득(912만8100원)의 6.5%에 불과했다. 소득 상위 10% 가구의 전체 소득(1천182만8600원)에서 이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5%였다.

전체 가구의 이전소득은 60만300원으로 근로소득(336만1000원)의 17.9%에 달했다. 전체 가구의 소득(487만6900원)에서 이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12.3%였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