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국회 출범을 앞두고 울산지역 국회의원들의 역량이 20대 국회에 비해 약화되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다. 울산은 6명의 지역구 국회의원 당선인 가운데 여당은 1명 뿐이고 5명이 야당인 미래통합당이다. 게다가 미래통합당 당선인 3명은 초선이다.

단순셈법으로 21대 국회의원의 선수를 모두 합치면 12선이다. 20대 국회에서는 15선인데다 국회부의장과 당사무총장까지 있었다. 19대 국회에서도 여당의 정책위의장이 있었다. 국가 예산 확보나 지역 숙원 사업 해결을 위해서는 당선인들의 역량 강화와 역할 배가가 절실한 상황이다. 그나마 기대를 걸고 있었던 김기현(4선) 당선인의 원내대표 가능성도 경선 출마 포기로 아예 물건너 갔다.

이제 울산지역 당선인이 21대 국회에서 1명의 국회의원을 뛰어넘는 비중을 갖기 위해서는 상임위원장을 맡는 길 밖에 없다. 그런데 그마저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김기현 당선인이 원내대표 경선에 나서면 자연스럽게 3선인 이채익 의원이 상임위원장에 도전한다는 전략에 차질이 생긴 것이다. 이 당선인은 여전히 상임위원장을 기대하고 있는 반면 원내대표 경선을 포기한 김 당선인도 상임위원장을 기대하면서 내분의 조짐이 일고 있다. 울산지역 출신 의원에게 상임위원장 2자리가 주어진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미래통합당에 배정되는 상임위원장은 7~8개 정도로 예상되고 있다. 김 당선인과 이 당선인이 상임위원장 자리를 두고 경쟁을 하는 것도 볼썽사나운 일이지만 김종인 비대위체제가 들어서면 2자리는커녕 1자리도 쉽지 않다는 전망도 있다. 울산지역 의원들은 김종인 비대위체제에 반대노선이기 때문이다.

울산은 인구가 적은 광역시다보니 국회의원 숫자도 광역시도 중 가장 적다. 그래서 1명의 의원이 두세명 몫은 해내야 하고, 그러려면 국회직이나 당직을 맡는 것이 유리하다. 정부 부처 장·차관이나 청와대 수석 등과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현안 해결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야당 초선 의원이 많은 울산으로서는 주요 상임위원장 1자리라도 확실하게 차지하는 방법을 강구해야 하는 이유다.

여당의 재선인 이상헌 의원의 역할론도 중요하다. 여야를 떠나 지역현안에 대해 공동대처를 해나가는 유연성을 발휘해야 한다. 초선의원들도 제각각 지역 현안을 고려해 적절한 상임위를 배정받는 것이 역할을 확대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다. 울산시민들은 이번 총선에서 ‘검증된 일꾼’을 선택했다. 울산시민들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원구성에서 최상의 결과를 만들어내야 한다. 6명의 국회의원이 사심을 버리고 원구성에서부터 머리를 맞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