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창환 사회부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2차 대유행의 공포에 울산시는 서둘러 공공시설의 문을 걸어 잠그고 있다. 어린이집 등 사회복지시설 1875곳이 운영을 중단했다. 울산에서는 지난 2월23일 첫 확진자가 나오면서, 모든 게 엉망이 됐다. 시민들은 위축돼 바깥 출입을 자제하면서 경제위기까지 닥쳤다. 정부와 울산시는 긴급재난지원금을 풀어 경기활성화를 꾀했다. 반짝 살아나는가 했지만, 경기는 다시 얼어붙었다. 울산 경제는 코로나가 아니더라도 이미 허약해질 대로 허약해진 상태였기 때문이다. 주력산업의 장기 불황으로 여지껏 겪어보지 못한 위기를 겪어온 게 사실이다.

문제는 앞으로다. 2차 대유행의 여파를 짐작하기조차 어렵다. 재난은 약자부터 공격한다. 약자는 기초수급자를 비롯해 소상공인까지 포함된다. 각종 축제와 행사는 취소되고, 복합쇼핑몰, 영화관 같은 다중(多衆)시설 이용도 제한된다. 가족 외식조차 꺼려한다. 영세 자영업자의 한숨이 다시 깊어진다. 비정규직 직원들이 하루아침에 일자리를 잃고 있다. 소비와 투자가 살아나야 결국 취약 계층의 고통도 덜 수 있다. 그 어느 때보다, 울산시의 기민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울산시는 재정이 바닥났다. 재해구호기금과 재난관리기금까지 허물어 쓴터라 재정여력이 더 이상 없다. 중앙정부만 바라보고 있는 게 현실이다. 정부가 긴급자금을 투입하더라고 신종코로나 종식 없이는 효과가 제한적이다. 정부의 재정 형편상 지원금 교부가 가능할지 의문이다.

코로나의 재확산은 정부와 시민 등 모두의 안이함에서 비롯됐다. 전 연령이 코로나를 너무 깔본 것이다. 코로나에 감염됐다 완치판정을 받았지만 각종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는 박현 부산대 겸임교수는 “‘심한 감기처럼 한번 걸리고 말지’ 하는 안이한 생각을 하는 분이 있다면 절대 그렇지 않다고 알려주고 싶다”며 “코로나 이전의 삶과 이후의 삶이 너무 달라졌다”고 했다.

백신개발까지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방역만이 유일한 수단이다. 모든 시민들은 방역에 능동적으로 협조해야 한다. 가을 독감 유행기 때까지 감염 확산 추세를 누그러뜨리지 못한다면 최악의 상황을 맞을 수 있다. 시민들도 초심으로 돌아가 엄격하고 보수적인 방역 의식을 갖춰야 한다. 울산시는 환자 폭증을 대비해 병상과 의료진을 다시 점검해야 할 것이다.

최창환 사회부 기자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