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세상으로 성큼 다가섰다. 2016년 세계경제포럼(WEF)에서 ‘정보통신기술(ICT)의 발달로 인해 2020년까지 전세계 일자리의 710만개가 사라지고 200만개가 새롭게 생길 것’이라고 예측할 때만 해도 반신반의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일자리뿐 아니라 생활 전반에서 디지털화가 급속도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그만큼 디지털 정보에 쉽게 다가서지 못하는 고령세대들의 삶이 고달파지고 있다는 말이다. 디지털 정보격차가 경제격차 이상으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것은 시간문제다.

특히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거나 스마트폰이 있어도 사용에 능숙하지 못한 고령세대들은 요즘들어 관공서와 식당 출입도 어려워졌다. 출입시 QR코드를 찍어라는 곳이 점점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QR코드가 뭔지 알지도 못할 뿐 아니라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QR코드 인증이 불가능하다. 수기명부에 기록을 하면 될 일이지만 수기명부 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해 기피하는 곳이 늘어나면서 서로에게 부담이 되고 있다. 고령층들은 “아예 외출을 하지 않는 편이 낫다”면서 “노인들에게 너무 가혹한 세상”이라고 한탄한다.

디지털 정보격차의 취약계층인 고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방문형식의 지속적인 교육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대다수의 고령층들이 핵가족화로 인해 자녀들에게 물어볼 수도 없는 형편이기도 하지만, 가족에게 맡겨두거나 일회성 집단 교육으로는 효과가 없다는 것이 전문가의 진단이다. 디지털 격차는 갈수록 심각한 사회문제가 될 것이 뻔하다. 코로나19가 보다 빨리, 더 분명하게 개인의 고충을 넘어 사회적 문제로 확대됐음을 알려주는 계기가 됐을 뿐이다.

개인뿐 아니라 소상공인들에게도 디지털화는 ‘발등에 떨어진 불’처럼 다급해졌다. 코로나19로 인해 언택트거래가 점점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겨우 배달앱을 사용하는 것으로는 충분한 대처가 되지 못할 뿐 아니라 예상밖의 비용도 곤혹스럽다. 정부는 지난 17일 2025년까지 스마트 상점 10만개, 디지털 전통시장 100곳, 스마트공방 1만개, 디지털상권르네상스 3곳 조성, 소상공인이 활용할 수 있는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등을 예고했다. 제3차 한국판 뉴딜계획이다.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을 지원하면서 동시에 비대면·디지털 전환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는 것이 목적이라고 하지만 대다수 울산지역 소상공인들은 이같은 정보에 접근하는 것조차도 쉽지 않다. 지방정부가 전문적인 역량을 갖추고 적극적으로 정보를 제공해주지 않으면 ‘그림의 떡’이 될 우려가 크다.

 

저작권자 © 경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